사회 사회일반

개성공단 출입제한은 삐라가 가장 큰 원인

“대한민국에서 기업하는 사람으로 정부의 말을 듣고 간 기업이 보장을 못 받으면 어디 가서 하소연을 하겠는가” “북한의 개성공단 출입제한과 개성관광 중단은 대북전단 살포가 가장 큰 원인 입니다”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의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간담회에는 북한의 ‘12.1’ 조치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인들의 하소연이 쏟아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인 대표 13명은 경색된 남북관계에 대한 답답함을 토로하며 대북전단 살포 저지 방안과 정부가 약속한 개성공단 근로자 기숙사 신축 등을 촉구했다. A기업 대표는 “개성공단 옥상에 대북전단이 떨어져 공단 직원들이 뿌렸다는 오해를 받았다”며 “정부가 나서 남북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하소연 했다. 그는 “삐라에 달러나 위엔화를 넣어서 보낸다. 인도적인 측면이 아니다”며 “점점 경직되게 만들어 개성공단을 폐쇄시키고 남북관계의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B기업 대표는 “정부가 2004년 개성공단을 추진하면서 공단 인근에 1만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를 지어주기로 했는데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공단에 입주한 한 기업인은 “근로자 900여명을 신청하고 기계설비를 마쳤지만 현재 공장의 3분의 1만 가동하고 있다”며 부족한 노동력을 강조했다. 또 다른 기업인은 “개성에 200억원을 투자했는데 철수하게 되면 45억원만 보상 받고 나머지는 고스란히 그 피해를 떠 안아야 한다”며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그는 “초기 개성공단 입주 때는 재무상태가 건전한 우량기업 이었는데 지금은 공단내 공장이 자산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며 부채율만 높아져 국내 모기업 마저 불량기업이 됐다”며 개성공장의 자산 인정과 정책자금 지원을 촉구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고 해결책을 찾아주는 전담 대책반 구성과 도 중소기업자금 지원, 기타 행정적 지원 등을 약속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