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석촌호수 수위저하 현상, 지하철 9호선 등 공사탓"

서울시, 조사결과 발표

각종 우려를 낳았던 석촌호수의 수위 저하 현상은 지하철 9호선과 제2롯데월드 등 주변의 대형 공사로 지하수가 대거 빠져나가면서 생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석촌호수 수위 저하가 도로 함몰의 원인이라는 일각의 주장과는 달리 수위 저하는 도로 함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났다.


서울시는 6일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석촌호수 수위 저하 원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9호선과 제2롯데월드, 주변의 대형 신축건물 8곳의 공사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발표했다.

관련기사



석촌호수 수위 저하는 지난 2011년 10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2년간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2010년 연평균 4.68m였던 석촌호수 수위는 2011년 10월 4.57m, 2013년 10월에는 4.17m까지 떨어졌다. 서울시는 인근 지역에 대형 공사가 집중되면서 수위 저하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분석하며 석촌호수의 물이 제2롯데월드의 유출수 및 9호선의 물과 유사하다는 점과 공사 이전 시기와 비교할 때 9호선과 제2롯데월드 공사가 이뤄지는 동안 각 공사장 방향으로 물 흐름이 바뀌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아울러 대형 공사가 마무리되면 석촌호수의 수위도 공사 이전 시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석촌호수 수위 변화가 주변 지반 침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수위 저하에 따른 지반 침하량은 최대 8㎜로 허용 침하량인 25㎜ 이내인 것으로 파악됐다"며 "도로 함몰은 대형 공사가 아니라 지하 도처에 깔려 있는 노후화된 배관에서 새나오는 물이 지반을 침하시켜 생겨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