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변화 조짐…'긍정 신호' 감지

北-美 첫 양자회동·BDA 실무회의도 개최<br>적극적 협상 통해 구체적 성과 도출 의지 보여<br>中 '9·19성명 이행' 4~5개 워킹그룹도 제안

북ㆍ미 양자간 실무협의에서 ‘방코델타아시아(BDA)’계좌 동결 문제를 풀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오광철(오른쪽) 조선무역은행총재가 19일 오전 실무접촉 전망을 묻는 취재진들에 둘러싸인 채 베이징의 서우두 공항을 급히 빠져나가고 있다. /베이징=연합

6자회담 회의 이틀째인 19일 베이징에서 방코델타아시아(BDA) 금융그룹 실무회의와 함께 북미 양자회동이 시작됐다. 회담 소식에 정통한 현지 소식통은 “날씨가 조금 나아진 것 아닌가 한다”고 말해 북측이 회담에 임하는 자세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했다. 다른 고위 당국자도 북측 자세에 대해 “정치적 레토릭(수사)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기술적 사안에 대해 실무적이고 상세한 얘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기조발언을 통해 ‘핵군축회담’ ‘경수로 제공’ 등 ‘최대치 요구’를 제시하며 회담 분위기를 어둡게 했던 것과는 달리 ‘긍정적 신호’가 감지된다는 말이다. ‘희망 섞인’ 관측이 가능한 대목은 하나 더 있다. 북한이 재무 전문가인 오광철 조선무역은행 총재에 ‘BDA 문제’ 논의를 맡긴데다 협의 장소도 ‘적진’이라 할 주중 미 대사관을 택한 점이다. 정치적 줄다리기가 아닌 실무적 자세로 적극적인 협상을 벌여 ‘성과’를 내려는 북측 의지가 강하다는 분석이다. ◇‘BDA ’ 등 대북 금융 제재 실무그룹 가동=오광철 조선무역은행 총재 등 북측 대표단은 이날 베이징에 도착, 주중 미 대사관에서 미 재무부 대표단과 3시간 가량 협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북한의 ‘돈세탁 혐의’ ‘위폐제도’ 등 현안에 대해 신경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측은 돈세탁ㆍ위폐제도 등 의혹 관련 증거를 제시하며 BDA 내 동결 자금의 해제를 위해서는 북측의 재발 방지 장치 마련이 우선이라고 강조했고 북측은 혐의를 부인하며 합법 자금을 먼저 해제하라고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소식통은 “일단 BDA 회의 결과가 이번 회담의 1차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BDA’ 논의 결과가 남은 회담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 4~5개 워킹그룹 구성 제안=회담 이틀째를 맞이하면서 논의의 형식도 좀 더 구체화되고 있다. 북핵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이날 오전 열린 6자회담 참가국 수석대표 회담에서 9ㆍ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해 사안별로 4~5개 워킹그룹을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사안별 워킹그룹은 ▦한반도 비핵화 ▦북미 관계정상화 ▦경제ㆍ에너지 지원 ▦지역안전보장 체체 확립 등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위 당국자는 이에 대해 “중국측 제안에 100%는 아니지만 대체로 긍정적 반응들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견이 있지만 상당히 조금씩 해소되는 과정에 있다”며 “20일 막바지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쟁점이 되는 부분들이 고비를 넘어 ‘합의’라는 고지를 향해 숨가쁘게 치닫고 있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