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과반수 금강산관광 재개 찬성 여론조사 나와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갤럽에 의뢰 여론조사

금강산관광 재개, 응답자 55.5% 찬성 지난해보다 5.6%포인트 증가

국민 과반수가 금강산 관광 재개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11일 공개한 ‘통일의식의 분화와 역동성: 2015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5%가 금강산 관광 재개에 찬성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5.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대는 13.9%에 그쳤다.

5·24조치 해제에 찬성하는 응답자(27.4%)는 반대(14.7%)보다 2배 정도 많았다.

개성공단도 유지에 찬성하는 응답자(49.5%)가 반대(19.6%)보다 훨씬 많았다.


정부의 대북전단 살포 차단에 대해 찬성 의견(45.4%)이 반대(21.8%)보다 우세했다.

관련기사



정부의 북한 인권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과반수(62.1%)가 찬성했다.

또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35.2%)가 경계대상(23.1%), 적대대상(16.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해 협력대상이라고 답변한 응답률은 10.1%포인트 낮아졌다. 연구원은 “광복 70년을 맞이해 기대했던 남북공동행사가 모두 무산되고 남북 간 격렬한 설전으로 이어지면서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북한 정권과 무력에 대해선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했다. 북한 정권에 대해 불안정해질 것으로 예측한 응답(59.9%)이 안정될 것(14.4%)이라는 응답보다 4배 많았다. 또 북한 정권과 대화 및 타협이 가능하지 않다는 응답(71.3%)이 가능하다(28.7%) 보다 2.5배 많았다.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있다(70.5%)가 없다(29.5%) 보다 월등히 많았다. 특히 북한의 핵무기 보유에 위협을 느끼는 응답자는 10명 중 8명(84.0%)이나 됐다.

남북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이 큰 국가로는 북한(87.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남한(50.5%), 중국(50.4%), 미국(47.2%), 일본(33.0%)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북한은 지난해보다 3.6%포인트 감소했지만 남한은 4.5%포인트 증가했다.

대북 정책의 우선순위로는 북한 개혁개방 및 인권개선(31.2%)을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북핵중단 국제협력(19.9%), 적극적 통일정책 및 재원 준비(18.2%), 남북 교류협력·대북지원(17.3%), 평화협정 체결(13.4%)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통일평화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북한의 지뢰 및 포격 도발 전인 7월 1∼24일 전국 만 19∼74세 성인 남녀 1천200명을 대상으로 기별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의 표본오차는 ±2.8%이며 신뢰수준은 95%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