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즌막바지 필드 공략법] "위험 줄이며 안전하게"

파3 코스선 넉넉한 클럽으로 공략을<BR> 샷자세 불안하면 어드레스부터 다시

고수들의 플레이를 유심히 지켜보면 계절에 관계없이 골프 스코어를 내는 비결은 정해져 있다. 구력은 오래지만 늘 90대 초반이나 80대 후반을 맴돌 뿐 속 시원하게 싱글 핸디캡 스코어를 내지 못하는 골퍼들은 그 비결을 익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골프라는 게 인생과 같아서 운이나 요행도 많이 작용한다고 하지만 따지고 보면 운이나 요행도 실력의 일면일 수 있다. 숲으로 들어갔던 볼이 나무에 맞고 튕겨 나왔다면 나무에 볼을 정확하게 맞출 실력이 있었던 덕분에 행운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싱글 핸디캡 골퍼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스코어 줄이는 비결 몇 가지를 짚어 본다. ■ 위험을 최소화하는 작전=싱글 핸디캡 골퍼는 티 샷을 무조건 드라이버로 하지 않고 파4라고 해도 반드시 2온하려고 하지 않는다. 장애를 최대한 피해서 안전하게 플레이하는 것이 우선. 물론 뭔가 도전하는 맛은 떨어지지만 스코어를 우선으로 했다면 안전이 먼저다. 티 샷은 무조건 페어웨이에 떨구고 그린을 노릴 경우는 벙커 바로 뒤쪽의 핀보다는 중앙을 겨냥하는 식으로 샷한다. ■ 상상력 동원=처음 티잉 그라운드에 설 때부터 그린까지의 공략 루트를 생각한다. 티 샷이 어디쯤 떨어지면 그린을 공략하기 쉬운지, 세컨 샷은 어디로 보내야 할지, 그린 주변 어프로치를 한다면 볼을 어디에 떨궈 얼마나 굴려야 하는지를 찬찬히 생각하고 목표를 분명히 정한다. 원하는대로 보내지 못하는 실력이라도 목표 설정하는 버릇은 들여야 한다. ■ 그린부터 거꾸로 계산=430야드 파4홀에서 220야드 드라이버 샷을 날린 경우 우드나 롱 아이언을 잡고 그린 주변으로 보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스윙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그린 주변 어프로치에 약한 골퍼라면 그린까지 거리를 둘로 나눠 풀 스윙할 수 있는 방법, 즉 피칭웨지나 샌드웨지로 두 번 두 번 치는 것이 홀에 더 가까이 볼을 붙일 수도 있다. ■ 성공확률 70% 이상만 도전=아니카 소렌스탐도 10번 중 6번 이상 성공한 샷이 아니면 시도하지 않는다고 했다. 보통의 아마추어라면 70~80%이상 성공시킬 자신이 있을 때면 샷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파3코스에서는 긴 클럽=아마추어들이 가장 많이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자신의 비거리를 과신하는 것. 특히 파3홀에서는 짧게 치는 경우가 많다. 핀이 앞에 있더라도 그린 중앙을 노리고 넉넉한 클럽으로 공략하는 것이 좋다. ■ 불안하면 어드레스부터 다시=동반자들의 플레이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라면 샷 하기 전 불안한 마음이 들 경우 반드시 어드레스를 풀고 다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지형에 따른 구질은 암기=볼이 양 발보다 높은 비탈에서는 훅이, 그 반대는 슬라이스가 난다. 이 경우 목표 방향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더 조정해야 한다. 내리막 홀은 슬라이스가 나기 쉽고 오르막 홀이라면 퍼 올리는 샷이 나오기 십상이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