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사관계 로드맵 균형잡힌 방안"

"노동계답지 않게 대화의 모양에 신경쓰고 있어"

김대환 노동부장관은 11일 "노사관계 선진화 로드맵이 사용자의 입장을 반영했다는 의견이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연구자 15인이 제안한 노사관계 선진화 로드맵은 균형잡힌 안"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KBS1 라디오 정보센터 박에스더입니다'에 출연, "노동계가 대화 제의에 응하지 않는 것은 대화를 할 필요성은 느끼나 정치화된 노동계 일각의 폐단으로 노동계답지 않게 대화의 모양에 신경을 쓰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이해하고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노동계의 대화 제의 거부는 (로드맵) 내용이 아니라 로드맵 자체를 거부하는 의견때문일 수도 있다"며 "노동계와 경영계 모두 심도있게 고민하고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실무 차원 또는 서면으로도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의견수렴과 함께 대화를 지속 추진하면서 내년 2월 국회 처리를 목표로 입법절차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로드맵에서 제시된 34개 과제중 24개 과제에 대해 입법을 추진키로했다"며 "24개중 18개는 당정간 의견일치가 이뤄졌으나 복수노조 교섭창구 단일화등 6개 과제는 아직 논의가 더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교섭창구 단일화를 비롯해 직권중재 폐지, 파업시의 대체근로 허용문제, 부당해고에 대한 형사처벌 규정, 경영상 해고, 노조 전임자 급여 금지 등의 6개 과제는 아직 어떻게 할 것인지 확정이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노동부 장관이 규정할 의무가 있는 교섭창구 단일화 문제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과반수 대표가 교섭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