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노총, 투쟁계획 확정] 財 "정치적 힘 이용 무리한 요구"

재계는 민주노총이 그동안 주장해왔던 요구조건을 그대로 내세운 데 대해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재계는 노동계가 비현실적인 요구를 통해 기업에 부담을 떠넘길 경우 해당 기업의 경쟁력 저하는 물론 공장의 해외이전 등 산업공동화를 더욱 가속화 시키는 부작용을 낳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동응 경총 상무는 “민주노총은 민주노동당의 원내진출 등을 통해 얻은 정치적 힘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겠다는 생각”이라면서 “ 17대 국회를 통해 제도권 내로 들어오게 된 만큼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노당의 원내진출 등을 계기로 합리적인 노사관계 정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실은 이와 전혀 동떨어진 방향으로 전개되고있다”며 “노동계의 정치적 힘과 강경투쟁이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산업 현장의 기대감을 한껏 키울 경우 커다란 혼란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크다” 고 덧붙였다. 재계는 특히 올해 임단협은 주5일 근무제 도입과 비정규직 차별철폐 등 민 감한 현안이 많아 예년에 비해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 이로 인해 기업의 경쟁력 저하와 산업공동화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 경우 결국 그 부담은 근로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파업일정 등을 미리 정해놓고 임단협에 임하는 것은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물리적 힘을 동원하겠다는 것” 이라며 “노동계가 힘을 얻었다고 해서 기업에 부담을 주는 무리한 요구를 내세우며 투쟁일변도로 나가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이진우기자 rain@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