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책에 몰입하면 주위 소리 안들리는 이유

무엇인가에 집중해 몰입하면 실제로 청력이 차단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의 제한된 능력을 시각과 청각이 나눠 쓰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사람이 책이나 낱말퍼즐게임에 몰입할 때 주변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인지신경과학회 닐리 라비(Nilli Lavie) 교수팀이 실험을 통해 그 이유를 밝혔다고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라비 교수는‘무주의 맹청(inattention deafness)’이라고 알려진 이 현상을 “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일반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좋은 책을 읽거나 신문 기사에 푹 빠져 있을 때 지하철 안내 방송을 듣지 못해 내릴 역을 놓치는 것”과 “걸어가면서 문자를 보낼 때 차가 오는 소리를 듣지 못하거나 주위를 둘러보지도 않고 차도를 건너려 할 때”도 무주의 맹청 현상의 하나라고 설명했다. 라비 교수팀은 100명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각각 헤드폰을 끼고 십자말 퍼즐을 풀게 했다. 한 쪽에는 가로세로의 배경색을 달리해 퍼즐의 난도를 쉽게 하고, 다른 한 쪽에는 가로세로 색 구분을 없애고 글자 길이를 비슷하게 하는 등 어렵게 했다. 실험참가자들이 퍼즐을 푸는 동안 예상하지 못한 때 헤드폰에 소리를 내보내고 실험 후 참가자들이 소리를 들었는지 묻는 간단한 실험이었다. 실험결과 가로세로를 색으로 구분한 실험참가자들은 10명 중 2명만 소리를 놓쳤다. 반면 좀 더 어려운 낱말퍼즐을 푼 실험참가자들은 10명 중 8명이 소리를 듣지 못했다. 라비 교수는 “청각은 위험을 알리는 경고 시스템으로 진화했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우리 연구는 사람이 무엇엔가 집중할 때 우리를 둘러싼 세계로부터 효과적으로 귀머거리가 되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와 비슷한 ‘무주의 맹시(inattention blindness)’실험은 이미 잘 알려졌다. 이 실험에서 관객들이 농구 게임에 집중할 때 고릴라 복장을 한 실험자가 관객들의 앞을 가로질러 갔지만 관객들은 그를 발견하지 못했다. 라비 교수의 ‘무주의 맹청’실험은 화물차가 후진할 때 울리는 경고음,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경적 소리도 자동차 운전자가 표지판이나 네비게이션 같은 시각 정보에 집중할 때 들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