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의 저축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가 각종 세제혜택을 통해 저축률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가 8일 발표한 `저축률 변화추이 분석과 시사점`에 따르면 저축률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지난해에는 26%대로 내려앉아 투자재원 부족, 경상수지 적자 심화 등 여러 부작용을 낳을 것으로 우려됐다.
저축률은 지난 80년대 이후 줄곧 30%대를 유지하다 88년 4ㆍ4분기를 정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 1분기~4분기중에는 26.2%까지 떨어졌다. 특히 지난 96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 하락 폭은 6.9%포인트에 달해 OECD 회원국의 평균 하락 폭(2.1%포인트)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저축률이 급속히 떨어지는 것은 경제개방 가속화 및 금융시장 발전으로 신용공급이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외환위기 이후 소비성향이 높아지고 고가품 소비가 늘어난 데다 저금리 기조로 인해 유동성이 확대된 것도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저축률의 추가적인 하락을 제어하기 위해 세제보완을 통해 일정 수준의 저축률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금리인상 등 직접적인 저축률 제고보다 세제혜택을 통한 연금제도 보완방식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됐다.
김범식 수석연구원은 “저소득층과 청년층의 저축률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비과세 상품을 확충하고 노후보장과 교육관련 금융상품에 대해 세제우대를 확대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 안정된 저축률을 유지해야 기본적인 경제성장도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