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년실업

`기업이 늙어간다`. 며칠전 한 일간지 기사의 머리기사 제목이다. 국내 기업의 55세 이상 근로자 비율이 지난 90년에 비해 2.3배 증가하고 평균연령도 32.6세에서 36.5세로 상승했다는 것이 기사 내용이다. 기업의 근로자가 노령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변화에는 많은 요인이 있다. 그 중 하나가 기업의 신규사원 모집기피다. 현재 국내 기업의 76.4%가 2003년 3분기에도 채용계획이 없거나 세우지 못하고 있다. 대신 경력직을 뽑는다고 한다. 예전 9~10월은 졸업생의 취업시즌이라는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원인이 무엇일까? 찬찬히 둘러보면, 우선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내지 못하는 교육체계에 눈을 돌리고 싶다. 취업지원자는 줄을 서는데 딱히 뽑고 싶은 인재가 없다는 것이 인사담당자의 하소연이다. 인적자원 개발의 공공기능을 포기한 기업의 행태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취업새내기`에 대한 교육과 훈련의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업의 고충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나 이것이 경기악화와 함께 청년실업을 발생시킨 요인과 환경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올 7월말 현재 청년실업자 수가 38만명을 넘어섰다. 실업률은 7.5%로 증가추세다. 그나마 고용이 불안한 임시직과 일용직을 감안하면 체감수치는 더 악화될 것이다. 실업은 가난을 부른다. 경제적인 부족을 넘어서 정신적인 결핍까지 야기한다. 자살, 이혼, 노숙, 신용불량, 가정파괴…. 대량실업을 불러온 IMF 외환위기 이후 부쩍 늘어난 우리사회의 단상들이다. 개인은 물론 사회와 국가에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청년실업은 일반실업의 공포에 더해 국가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 한창 땀 흘려 일해야 하는 나이에, 일하고 싶은 나이에 일자리가 없어 손을 놓고 있는 청년들이 늘어나는 사회. 기업의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계승 발전시켜야 할 청년들이 기업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국가. 어디서 미래를 찾고 누구와 내일을 얘기할 수 있을까? 결국 청년실업의 증가는 컴컴한 미래, 희망 없는 내일을 예고하는 적색 경고음이다. 단기처방만으로 청년실업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는 어림없다. 경고를 무시하고 `경기가 살아나기만을 기다릴 뿐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방치한다면 양철북의 아이들처럼 대한민국은 성장을 멈출 것이다. 미래를 위해 애써 근로하려는 청년의식의 고취하고 `졸업은 곧 실업`이 되는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산업체의 요구를 담아내는 `숨쉬는` 교육체계 수립이 절실하다. 산학연이 함께하는 직업훈련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도 우리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풀어야 할 과제다. <오세훈 국회의원(한나라당)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