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DJ "美, 고위급 대북특사 파견 필요"


김대중(사진) 전 대통령이 북한 핵실험 사태의 해결책으로 미국의 고위급 대북 특사 파견을 주장했다. 김 전 대통령은 16일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워싱턴과 평양간 협상의 시동을 걸기 위해 (미국의) 고위급 대북 특사(파견)가 필요하다”며 압박보다는 협상이 북핵 위기를 푸는 열쇠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난 11일 전남대 강연에서 “북한의 핵실험은 미국의 대북 핵정책의 실패를 입증하는 것이다. 옳은 일을 위해서는 악마와도 대화하는 것”이라며 대북 포용정책의 필요성을 설파한 데 이어 ‘북핵 외교적 해결’ 원칙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대통령은 또 ‘제임스 베이커 전 국무장관처럼 미국 정부가 신뢰할 수 있는 특사를 활용한 비밀협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제안에 공감을 나타내며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무력 또는 경제 제재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북한과의 대화를 추구한다는 결단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북미간 직접 대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전 대통령은 “2001년 한미 정상회담 당시 부시 대통령은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지원약속을 이행한다는 내용의 공동선언을 하기로 했지만 부시 대통령은 합의내용을 언급하지 않고 북한이 핵무기를 만들고 있다고 비난했다”며 “부시 대통령이 클린턴 행정부의 정책을 따랐다면 북핵 문제는 해결됐을 텐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해 북한 핵실험 강행에는 강경 일변도를 추구한 미국 대북정책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음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