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 3社 여신 만기연장 안팎

합의도출 강제흔적…효과 의문정부와 현대 채권은행들의 긴급회동은 '구두선'에 그치고 있는 현대 계열사에 대한 지원 상황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도 강하다. 금융권은 현대의 생존 가능성을 여전히 의심하고 있으며 감독당국의 '강압'에 못이겨 만기연장에 합의한 흔적이 역력하기 때문이다. ◇서면협약으로 지원 강제화 현대는 그동안 은행권에 불만이 많았다. 특히 건설ㆍ전자는 은행권이 DA(수출환어음) 지원을 약속하고도 회수해 유동성위기를 겪었다. 급기야 현대전자 미국현지법인인 HAS는 부도 직전까지 몰렸다. 금감원과 외환은행이 개별 은행들을 설득했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아예 은행장들이 지원방안에 서명토록 했다. 협약 형태로 강제화하기 위함이다. ◇핵심 3개사에 대한 여신만기연장 현대건설은 이미 만기연장 조치가 취해진 상태. 회의에서는 전자ㆍ유화도 6개월~1년까지 만기를 연장해주기로 했다. 전자는 당좌대월과 일반자금 대출 등 3,000억원에 대해, 유화는 6월까지 만기도래분에 대해 6개월 만기연장 조치를 취했다. 아울러 전자에 DA 14억달러와 수입LC(수출입신용장) 한도 5억3,000만달러 보장을, 건설에는 해외차입용 4억달러에 대한 지급보증 등 예정된 지원에 대한 차질없는 이행을 약속했다. 신규지원도 논의됐다. 유산스 등 한도성 대출외에 현대유화에 대해서는 외자유치때까지 필요한 1,150억원의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현대에는 자구노력 강제화 현대에도 상응한 자구 압력이 가해졌다. 건설로부터 출자전환 동의서를 징구한데 이어 전자에도 비상시 동의서를 징구하기로 했다. 특히 채권단은 현대전자와 여신거래 특별약정을 체결, 자구노력을 매월 점검하고 여신회수 등의 금융제재 조치도 마련했다. 유화도 신규지원을 하되 유화 PVC생산업체인 SM공장 매각대전에 대한 처분위임장을 받았다. ◇열쇠는 조기 자구이행 현대는 계열사별 경영진이 참석, 자구의지를 재삼 확인했다. 현대측은 D램가격이 3분기 3.10달러, 4분기 4.10달러 정도면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입장. 이천 폐수처리시설의 매각(비벤디)도 성사단계로 2,000억원 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입금 만기분산을 위해 해외차입계획서도 제출했다. 유화는 총차입금이 1조7,900억원. SM공장 매각과 만기연장 등만 이뤄지면 정상화가 가능하다는게 현대 입장. 외자유치ㆍ자율적합병(신 빅딜)도 추진되고 있다. 문제는 현대가 이 같은 자구노력을 약속대로 이행할지 여부. 채권단 관계자는 "자금을 약속대로 지원하지 않은 것은 채권단에게도 책임이 있지만 현대가 자구일정을 지키지 않은데 근본 원인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99년 대우가 파산한 것은 채권단의 이기적 자금회수와 회사측의 조기 자구노력 부족때문이었다"며 "현대가 살 길은 이를 답습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