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통신비 부담 5년새 17%↑… 가구당 月평균 16만원

11일 통계청 가계동향에 따르면 정부가 가계 통신비 부담 경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당 통신비는 계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전국 가구(2인 이상)의 명목가격 기준의 월평균 통신비 지출은 2008년 1분기 13만4,086원 대비 올해 1분기 15만7,579원으로 5년새 17.5% 늘었다고 분석했다.


통신비 구성 항목 중 통신장비비는 2,937원에서 8,783원으로 199%, 통신서비스비는 13만1,139원에서 14만8,864원으로 13.5% 늘었다. 우편비는 182원에서 234원으로 28.6% 증가했다.

2008년 1분기 이후 전년 동기대비 기준 통신비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가 ‘통신비 20% 경감’을 공약으로 내걸고 이동통신사 기본료 1천원 인하, 알뜰폰 도입 등을 추진했으나 사실상 효과가 미미했던 것이다.


박근혜 정부도 출범 전 인수위원회 시기부터 이동통신 가입비 폐지, 서비스 경쟁 활성화를 통한 요금 인하 유도 등 가계 통신비 부담 경감 방안을 내놓은 상태다.

관련기사



통신비는 2008년 내내 분기별로 1% 안팎의 증가세를 보이다 2009년 1분기(-3.5%), 2분기(-1.0%), 3분기(-0.5%)에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2009년 4분기 이후 14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5% 안팎을 넘나들던 증가율은 지난해 들어 1분기 11.0%, 2분기 13.2%, 3분기 10.8% 등 10%대로 치솟았다.

가계 소비지출에서 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2분기 7.2%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가 3분기(7.0%), 4분기(7.0%)에 이어 올해에는 6.7%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통신비 증가에는 기기와 요금이 비싼 스마트폰 확산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수천원대의 장비구입비보다는 십여만원대의 서비스비 상승이 통신비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관계자는 “2009∼2010년에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음성 통신 뿐 아니라 데이터 통신 등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가입자가 많아지면서 통신비가 계속 오르는 추세를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