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전기전자업종 2020년 온실가스 62% 줄인다

정부, 부문ㆍ업종별 감축목표안 마련…자동차도 32% 감축

전기전자업종은 오는 202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62%, 자동차는 32%를 감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부문별ㆍ업종별로 구체화한 감축목표안을 마련, 공청회 등을 거쳐 7월 중 확정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번 감축목표안은 2009년 11월에 확정ㆍ발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따른 세부안으로, 정부는 오는 202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인 8억1,300만 CO²et(6개 온실가스를 CO²로 환산한 양)톤 대비 30%인 6,800만 CO²et을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목표안에 따르면 우선 산업별로는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 수송 34.3%, 건물 26.9%, 공공기타 25%, 산업 18.2%, 폐기물 12.3%, 농림어업 5.2% 등의 감소 목표치가 설정됐다. 업종별로는 전기ㆍ전자의 감축목표안이 61.7%로 가장 크고, 전자표시장치(39.5%), 운수ㆍ자가용(34.3%), 자동차(31.9%), 반도체(27.7%), 가정용 건물(27%), 상업용 건물(26.7%), 발전·도시가스·지역난방(26.7%) 등도 두 자릿수 감축률을 목표로 한다. 광업(3.9%), 유리ㆍ요업(4.0%), 음식료품(5.0%), 건설업(7.1%), 농림어업(5.2%) 등은 상대적으로 감축율이 낮았다. 감축량 기준으로는 전자표시장치가 2020년 배출전망치인 7,100만 CO²et에서 2,800만 CO²et을 줄여 4,300만 CO²et을 배출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기ㆍ전자가 2,500만 CO²et 줄어든 1,500만 CO²et을, 상업용 건물과 가정용 건물은 각각 2,400만 CO²et과 2,300만 CO²et을 감축한 6,700만 CO²et과 6,300만 CO²et을 배출할 것으로 예상됐다. 구체적인 감축방법으로 산업ㆍ전환 부문은 열병합 발전, 연료대체, 스마트그리드 등의 보급이 확산되고 에너지 절약기술이 확대 적용된다. 건물ㆍ교통 부문에서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개선, 그린카 보급 확대, 고속철도와 광역교통체계 확대 등 녹색 교통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부는 이번 감축목표를 오는 9월부터 추진하는 업체별 감축목표 설정에 적용한다. 이에 따라 개별 기업들은 연내 감축 이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이번 감축목표안에 대해 오는 29일 서울 교육문화회관과 대전 근로자 종합복지회관에서 각각 공청회를 실시한 뒤 국민여론 수렴 절차를 거쳐 7월 중 최종 확정한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