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MSCI 선진국지수 편입 이번에도 힘들 듯

외환거래 제한 등 이견 못좁혀

한국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 편입이 이번에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외환거래 제한과 외국인투자가등록제도 등과 관련 MSCI와 한국 금융 당국 간에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한국시각으로 11일 오전6시께 MSCI는 연례 국가 분류 점검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발표에 따라 한국과 대만 등의 선진국지수 편입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한국은 지난 1998년 MSCI 신흥국지수에 편입된 이후 2008년부터 매년 선진국지수 편입에 도전했다. 경제규모나 유동성 등은 이미 선진국 요건을 충족했지만 외국인투자등록제도, 코스피200지수 사용권 문제 등으로 인해 MSCI 선진국지수 도전은 번번이 무산됐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MSCI는 시장 접근성 항목과 관련 제한된 원화 환전성과 외국인투자등록제도 등 경직성을 문제 삼고 있다"면서 "선진국지수 편입을 둘러싸고 MSCI와 한국 금융 당국의 견해 차이가 분명한 만큼 선진국지수 편입 가능성은 이번에도 희박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오히려 한국의 MSCI 선진국지수 편입보다는 신흥국에 남아 있는 게 더 유리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BNP파리바는 한국이 신흥국으로 남아 있을 경우 더 많은 자금유입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3년간 선진국 대비 뒤처져 있던 신흥국 증시에 대한 투자심리가 살아나고 있어 신흥국지수에 머물러 있는 것이 이득이라는 의견이다. 실제 이스라엘의 경우 지난 2010년 선진국지수 편입 이후 주가가 6.7% 하락했다.

한편 이번 발표에서는 한국의 편입 여부보다 중국A지수의 신흥국지수 일부(5% 내외) 편입 여부가 더 주목받고 있다. 중국A지수가 신흥국지수에 포함될 경우 국내 증시의 외국인 스탠스 변화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병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A지수의 신흥국지수 부분 편입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부분 편입시 내년 5월까지 약 1조원가량의 자금 이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