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최석영 외교부 교섭대표 "한미FTA 비준 1년 늦으면 연간 15조원 국가적 손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이 교착 상태에 빠지고 일본이 미국과의 FTA와 다름없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에 참여할 것을 선언하자 정부가 15일 쫓기는 심정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최석영(사진) 외교통상부 FTA교섭대표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야당이 '내년 총선 이후 또는 19대 국회에서 한미 FTA 비준을 논의하자'는 주장에 대해 "정부로서는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본다"며"한미 FTA가 1년 늦어지면 연간 15조원의 손실을 보게 된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의 지적은 대한상공회의소가 한미 FTA 경제효과를 분석해 1년 늦어질 경우 약 15조2,000억원의 국가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발표를 인용한 것으로 지난해 추가협상을 통해 자동차 부문 이익이 일부 감소한 것까지 고려한 것이다. 그는 비준 지연에 따른 손실 이외에도 ▦미국시장 선점 효과 상실 ▦한국의 정책 일관성에 대한 신뢰성 문제 ▦수출입기업의 예측 가능성 상실 등 제기될 위험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일본의 TPP 참여와 관련해 "일본이 한국보다 먼저 미국시장에 접근하면 한미 FTA로 얻을 수 있는 선점이익이 없어질 위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TPP 참여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국ㆍ페루ㆍ호주 등 TPP 참여국 모두와 이미 FTA 협정을 체결했거나 협상 중에 있다"고 밝혀 한미 FTA 비준 및 진행 중인 FTA 협상을 조기에 매듭 짓는 것이 유리함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