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합병] 구도 급변 배경·전망

[은행합병] 구도 급변 배경·전망 "부실은행끼리 통합 또 부실" 방향전환 정부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은행합병 구도는 당초 알려진 것과 크게 다른 방향이다. 한빛은행 중심의 정부금융지주회사 대신 우량은행을 금융지주회사의 중심에 두는 것과 지방은행을 각 우량은행에 개별적으로 통합시키는 방안 등이 주요 골자. 이 같은 '변형된 시도'는 시너지효과 극대화와 리딩뱅크(선도은행) 탄생이란 두 목표가 자리하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국내 은행이 네가지 구도로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지주회사 ▦대형 합병은행 ▦중형 합병은행 ▦소형 통합은행 등이다. 이 경우 2단계 구조조정전 정부가 그렸던 대형 리딩뱅크 2곳도 자연스레 만들 수 있다는 복안이다. ◇구조조정 구도 왜 바뀌었나 재경부는 자체 보고서에서 ▦한빛ㆍ지방은행을 묶는 방안(1안)과 ▦지방은행만의 별도 지주사를 만드는 복수 지주사안(2안) ▦지방은행을 대형은행에 합병시키는 방안(3안)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중 1안에 비중을 둬왔다. 이는 그러나 처음부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시너지효과에 대한 회의론이 강했다. 전문가들도 경쟁력이 뒤쳐지는 은행간 통합으론 미래전망을 답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지난달말부터 신한 등 우량은행을 상대로 지방은행 인수의사를 타진했다. 1차 구조조정때 한미-경기 및 하나-충청은행간 P&A가 벤치마킹 대상이었다. ▦신한- 제주 ▦조흥-광주 ▦주택-경남 등의 구체적 짝짓기 대상까지 거론됐다. 정부는 지방은행들을 이처럼 우량은행에 넘기는 대신 정부 주도 지주회사에는 대형 우량은행을 합세시켜 '규모'와 '시너지'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로 했다. ◇은행 구조조정 구도 어떻게 바뀌나 정부의 구조조정 구도는 크게 4가지다. 눈앞에 다가온게 우량ㆍ지방은행간 통합구도다. 정부는 이들 지방은행을 우량은행과 통합시키더라도 1차 구조조정때처럼 P&A(자산ㆍ부채인수)방식이나 직접 합병방식이 아닌 자회사 방식, 즉 지주사를 통한 단계적 통합으로 자연흡수토록 할 방침이다. 우량은행 2~3곳도 공적자금으로 지방은행을 클린화하면 긍정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정부는 대신 이구도에 반발하는 은행은 경영개선명령으로 정부주도 지주회사에 통합시키겠다는 구상이다. 평화은행을 포함, 1~2개은행이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남은 문제는 정부지주회사 덩치가 오그라든다는 점이다. 이를 만회키 위한 정부 구상이 우량은행 한 곳을 지주회사에 넣는 것이다. 이 경우 지주사 주축은 자연스레 우량은행으로 변한다. 통합대상은행은 6,000억원의 증자를 통해 클린뱅크로 변하는 외환은행이 1순위다. 그러나 코메르츠 입장에 따라 주택ㆍ국민은행을 차선으로 고를 가능성도 있다. 또 서울은행도 매각협상이 지지부진할 경우 여기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이 같은 두가지 구도와 하나ㆍ한미은행간 통합외에 주택ㆍ국민은행 등을 매개로 대형 합병은행을 탄생시키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대형 선도은행 2개 만든다 이번 구조조정 구도의 핵심은 세계 100위권에 드는 대형 선도은행 두개를 만드는 것이다. 정부주도 지주회사와 우량은행간 통합을 통해 나타나는 대형통합은행이다. 정부는 중형 통합은행도 그리고 있다. 이는 하나-한미은행간 합병으로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지방은행 1곳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우량-지방은행간 통합을 통해 나타나는 통합은행, 즉 신한-제주은행 등의 소형통합은행도 시장에서 나름대로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막판 진통 불가피 이 같은 구도는 생각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 우량+지방은행 구도는 해당은행 노조는 물론 해당은행 외국 파트너 등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행을 우량은행에 통합시킨뒤, 외환ㆍ주택ㆍ국민은행의 해외파트너를 설득하지 못하면 정부 지주회사만 '낙동강오리알'이 될 수 있다. 지방은행을 흡수할 우량은행 주주들의 반응도 주목거리다. 정부가 아직도 당초 통합구도인 한빛과 지방은행간 통합(1안)을 머릿속에 담고 있는 이유다. 정부는 4일 열린 경제장관 간담회에서도 한빛과 지방은행을 묶는 방안과 우량은행에 지방은행을 엮는 두가지 방안을 놓고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기기자 입력시간 2000/12/04 18:0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