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월 서비스업 생산 2개월 연속 증가

작년 설효과 불구 0.7% 늘어나..경기회복 기대감 고조도<br>소매업은 14개월來 최대폭 감소, 본격 내수회복 두고봐야

지난 1월 서비스업 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연초 경기회복 기대감을 더했다. 그러나 같은 달 도소매업 생산은 음식료품과 담배 판매 등의 부진으로 무려 14개월만에 최대폭의 감소세를 나타내 확실한 내수회복기 진입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한다는 지적이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서비스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음식점업, 운수업, 통신업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0.7%증가했다. 이로써 서비스업 생산은 지난해 12월 0.6% 늘어난데 이어 2개월째 소폭이나마 증가세를 유지했다. 부문별로는 숙박.음식점업이 2.8% 늘어나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운수업 5.4% ▲통신업 5.2% ▲사업서비스업 4.9% ▲의료업 4.2% 등도 모두 최근의 상승세가 이어졌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지난해부터 불어닥친 '한류 열풍'으로 호텔업이 29.3%나 늘어나 두자릿수의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일반음식점업과 휴양.콘도운영업도 각각 3.1%와 8.5% 늘어났다. 반면 여관업은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성매매특별법 등의 영향으로 8.2% 줄어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또 금융.보험업은 7개월만에, 부동산.임대업과 오락.문화.운동 관련 서비스업은 각각 11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대부분의 서비스업종에서 회복조짐을 보이고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반면 대표적인 내수업종인 소매업 생산은 5.8%나 줄어들어 지난 2003년 2월 이후 23개월만에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고, 도매업도 1.9% 감소해 7개월째 마이너스를기록했다. 이에 따라 1월 도소매업 생산은 3.3% 줄어들어 7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함과 동시에 지난 2003년 11월 이후 14개월만에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는 지난해 1월에 설 연휴가 포함된데 따른 상대적 감소세로 당초 예상치보다는 나은 결과여서 2월부터는 가시적인 회복세를 나타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세부 항목별로는 지난해 설연휴 효과와 담뱃값 인상에 따라 음식료품과 담배가 도매업과 소매업에서 각각 11%와 13.4%나 줄어들었으며, 종합소매업도 10.9%나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잇단 신차 발매로 인해 자동차 판매가 8%나 늘어나 3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기계장비와 건축자재.철물 도매업도 각각 6.2%와 1.8% 증가했다. 이밖에 교육서비스업이 7.8% 줄어들었으나 이는 지난해 교사들에 대한 설 보너스 지급으로 인한 상대적인 결과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 1월에는 지난해보다 영업일수가 이틀 늘어난 것이 대부분의 업종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며 "그러나 지난해 설 효과가 올해 도.소매업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