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임 출연硏 원장에게 듣는다] 박필호 한국천문연구원장

"열정·창의적 연구환경 이뤄 강소 천문학 기관으로 도약"<br>국내외 우수 인력 확충 힘쓰고<br>국제공동프로젝트 참여 늘릴터


"그동안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사업과 거대 마젤란 망원경(GMT) 프로젝트 등을 통해 우리나라 천문학이 세계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자평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강소형 연구원 구현에 따른 일류화 실현'이라는 키워드를 모토로 세계 천문학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주력해나갈 방침입니다." 천문연의 수장으로 새롭게 취임한 박필호(사진) 원장은 천문연이 세계에서 인정받는 일류 연구기관으로 도약하는 데 밑거름이 되겠다며 취임 일성을 이같이 밝혔다. 또한 이를 위해 우수 연구인력 확충, 열정과 소통의 연구환경, 창의적 문화 조성에 힘써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986년부터 25년 동안 천문연에 몸담고 있는 박 원장은 그동안 GPS연구그룹장, 우주과학연구부장, 선임연구부장 등을 역임하며 연구원의 내부사정에 누구보다 밝은 인물로 꼽힌다. 그만큼 산적해 있는 현안과제의 해결에 대한 구성원들의 기대도 어느 때보다 높은 상태다. 박 원장은 "작지만 강한 일류기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열정과 소통, 창의적 문화 조성이 필수적"이라며 "조직의 의사결정 체계를 단순화하고 원칙중심의 경영을 정착시켜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박 원장은 그동안 천문연이 네이처나 사이언스와 같은 국제적 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올린 사례가 없고 국제 특허 출원 실적도 전무하다는 지적에 통감하고 개선책 마련에도 고심 중이다. 박 원장은 "일례로 천문연은 적외선 분야에서 세계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이의 사업화에는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네이처와 사이언스급 논문을 매년 게재하고 국제 특허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해외에서 연구비를 수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능력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세계 일류기관들과의 국제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해 우수인력 유치에 적극 나서는 한편 유망분야에 대한 학·연 간 공동연구도 강화해나간다는 복안이다. 그 일환으로 기관장보다 더 많은 연봉을 주고서라도 국내외 우수인재를 유치하고 내부인재의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에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게 박 원장의 소신이다. 덧붙여 인류의 오랜 관심사 중 하나인 외계생명체 존재 여부를 밝히기 위한 2m급 광시야 망원경과 초대형 영상 카메라를 지구 남반구 국가의 천문대에 설치하는 국제공동연구프로젝트 참여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박 원장은 "이 프로젝트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외계행성을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발견하는 것이 목표"라며 "국내 및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오는 2013년께 칠레∙남아공∙호주 등지에 탐색시스템을 설치,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