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백악관, 김정은 공식 언급 사실상 새 후계 구도 인정

미국 백악관이 북한의 권력 이양 과정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후계자로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처음으로 공식 언급해 사실상 김정은 후계 체제를 인정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21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권력 분할 가능성과 관련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김 부위원장을 공식 후계자로 지명했고 현 시점에서 변화가 있다는 어떤 증거도 없다"고 답했다. 미 정부가 북한의 후계자로 김 부위원장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 정부는 지난 19일 김 위원장 사망 이후 김 부위원장을 언급하지 않은 채 '북한의 새 리더십'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왔다. 백악관이 북한의 후계자로 김 부위원장을 공식 거론하고 후계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한 것은 김 부위원장 중심의 북한 체제를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미국보다 한발 앞서 북한에 조전을 보내 김정은 후계 체제를 공식 인정한다고 대내외에 선포했다. 카니 대변인은 "우리는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며 "북한의 새 리더십이 평화와 번영, 북한 주민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비핵화 약속 이행에 나설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은 현재 전환기이자 국가 추도 기간"이라며 "따라서 이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북한 정부와 직간접적으로 연락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내가 아는 바로는 없다"고 덧붙였다. 존 커비 미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김 위원장 사망 이후 북한 군부의 특이 동향이 탐지되지 않았다"며 "북한 내 권력 이양이 평화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김정은 체제가 하루빨리 정착할 수 있도록 식량지원은 물론 북미 접촉을 강화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클리퍼드 하트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와 한성렬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는 김 위원장 사망 직후 전화 협의를 통해 대북 식량 지원과 3차 북미 대화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르면 김 위원장 장례식 직후 북미 대화에 대한 논의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