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朴대표 친정체제 강화

전면 당직개편… 정책위위장 박세일·사무총장 김무성의원

"잘 해봅시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11일 염창동 당사에서 새로 임명된 유승민(왼쪽부터) 대표비서실장ㆍ김무성 사무총장ㆍ전여옥 대변인과 손을 맞잡고 있다. /이종철기자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11일 정책위의장에 박세일 의원을 내정하고 사무총장에 김무성 의원을 임명하는 등 전면적인 당직개편을 단행했다. 이에 대해 정가에서는 박 대표가 측근들을 대거 전진 배치함으로써 친정체제를 확고히 굳힌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박 대표는 이날 운영위원회를 통해 이 같은 당직 인선을 발표하면서 “정책정당으로 가기 위한 체제정비”라면서 “효율적인 의사결정과정과 탄탄한 정책생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배경을 밝혔다. 박세일 정책위의장 내정자는 17대 총선 당시 공동선거대책위원장과 비례대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은 데 이어 여의도연구소장으로 중ㆍ장기정책을 입안해온 대표적인 정책통이다. 신임 김무성 사무총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비서관 출신의 3선 의원으로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차관, 한나라당 총재비서실장 등을 거쳐 현재 국회 재경위원장을 맡고 있다. 또 대표비서실장에는 당내 대표적인 경제통인 유승민 제3정조위원장이 기용됐으며 대변인실은 전여옥 대변인 단일체제로 변경됐다. 정책위원장 산하 6명의 정조위원장의 경우 황진하 제2정조위원장을 제외하고 ▦제1정조위원장 유정복 ▦제3정조위원장 박재완 ▦제4정조위원장 이혜훈 ▦제5정조위원장 이주호 ▦제6정조위원장 박찬숙 의원 등 5명이 새로 임명됐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의 소장에는 연세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경실련 정책협의회 의장을 역임한 윤건영 의원이 내정됐다. 이번 인사에 대해 당내 일부 중진과 소장파들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람들로 당을 이끌어가겠다는 친정체제 강화 이외에는 다른 의미를 찾을 수 없다”면서 “당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하고 나서 박 대표의 2기 체제가 순항할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않다. 특히 박 대표와의 불화설에 시달리고 있는 김덕룡 원내대표의 외유기간을 맞아 당직 개편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향후 김 대표의 거취문제도 관심을 끌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