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탈세 의혹 구글ㆍ아마존, 영국 의회에서 혼쭐나

조세 회피 논란에 휘말린 아마존과 구글이 영국 의회에서 혼쭐이 났다.


영국 하원은 16일(현지시간) 공공회계위원회 청문회를 열고 구글, 아마존 등 다국적 기업을 상대로 부도덕한 탈세 행위를 질책했다.

관련기사



아마존은 지난해 영국에서 43억 파운드(약 7조3,000억원) 매출을 올리고도 법인세는 겨우 매출의 0.1%만 낸 사실이 드러나 이날 집중적인 비판을 받았다. 특히 아마존은 지난해 영국에서 법인세로 240만 파운드(약 4억원)를 내고 일자리 창출 명목으로 이보다 많은 250만 파운드의 보조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도덕성 논란에 휘말렸다.

구글은 지난해 조세피난처인 버뮤다로 98억 달러의 수입을 이전해 유럽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20억 달러의 법인세를 회피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마거릿 호지 공공회계위원장은 증인으로 출석한 매트 브리틴 구글 부사장을 향해 “세금 회피를 목적으로 사업 실체를 의도적으로 조작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구글이 사악해지지 말자는 구호를 외쳐온 것과 달리 탈세를 위해 사악한 방법을 동원해 왔다”고 주장했다. 호지 위원장은 구글이 영국 의회에 제출한 영국 내 매출 자료가 실제 글로벌 매출 자료와 일치하지 않는 점을 들어 의회를 기만하려는 범법 혐의가 있다고 공격했다.

이에 대해 브리틴 부사장은 “구글은 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세금도 준법 차원에서 규정을 철저히 지키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구글이 유럽 본부를 아일랜드 더블린에 둔 것에 대해서는 “세금 회피 목적이 아니라 사업상의 이점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