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권 단독주택가 재건축 잇따라 불발

개포·수서지구 재건축 계획 심의 보류 등<br>市 "무분별한 철거식 재개발 막겠다" 제동<br>구청측 당혹 속 지역주민과 갈등도 커질듯

서울시가 강남 낡은 단독주택지에 대한 재개발·재건축 추진에 잇따라 제동을 걸면서 서울시와 해당지역 주민간 마찰조짐을 보고 있다. 서울 시내 한 단독주택지 전경. /사진=서울경제DB

서울시가 강남권 단독주택가에 대한 아파트 재건축 등 고밀 개발에 잇따라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는 최근 무분별한 철거식 재개발ㆍ재건축을 막고 가능한한 단독주택가 등 양호한 기존 주거지를 보존하겠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어서 개발을 요구하는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열린 제11차 도시ㆍ건축공동위원회에서 '개포택지개발지구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안'과 '수서택지개발지구 제1종 지구단위 계획 결정'의 심의를 보류했다.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은 지구내 일원동 629 일대 개포4지구 단독주택가 37만3,000㎡를 아파트로 재건축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당초 주민들과 구청은 이 일대를 3,000가구 안팎의 아파트로 조성한다는 방침이었다. 이 일대 아파트 사업은 지난 2000년부터 추진해 온 것으로, 서울시가 지난 2007년 한차례 계획을 보류하자 구청과 지역주민들이 일부 계획을 수정에 최근 서울시에 제출했었다. 하지만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보류 결정을 내린 것은 계획의 일부 수정 등 단순한 보완조치가 아니라 기존의 단독주택을 최대한 유지할 필요성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개발을 원하는 지역 주민과 이를 반대하는 시 간 갈등이 확산될 것으로 우려된다. 회의에서는 또 2-2지구인 '개포구마을'(3만5,000m²)에 대한 아파트 개발계획 역시 같은이유로 보류 판단을 받았다. 시 도시관리과 관계자는 "이번 지구단위계획 보류는 도심에 아파트만 짓겠다는 일선 구청의 요구를 무조건 들어주지 않겠다는 단호한 의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시의 주거 정책 방향은 '다양한 주택을 제공해 주거 복지수준을 높이는 것"이라며 "강남구가 어떤 보완조치를 취할지 모르겠지만 아파트 건축을 고집할 경우 비슷한 결정이 내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강남구 일원ㆍ수서동 일대 수서택지개발지구(133만5,000m²)내 단독주택지를 다세대주택으로 변경하는 안건 역시 위원회로부터 보류 판정을 받았다. 전체 지역의 1%에 불과한 단독주택지(1만7,000m²)라 할지라도 이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위원회가 판단한 것이다. 이에 대해 강남구측은 "2건의 지구단위계획안 모두 보류 결과가 나와 당혹스럽다"며 "정확한 내용을 공식 확인한 후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