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아처리 조건부화의로/재경원,김 회장 퇴진 전제

◎구체방안 주내 마련/사퇴거부땐 법정관리/기아측선 “김 회장중심 정상화” 재확인/어제 강 부총리·김 수석 등 4자회동정부는 기아사태 처리방안을 이르면 이번주중 확정할 예정이다. 강경식 부총리는 21일밤 서울시내 모처에서 임창렬 통상산업부장관, 김인호 청와대경제수석, 유시렬 제일은행장 등과 만나 기아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처리 방향 모색에 나섰다. 이날 모임에서 참석자들은 김선홍기아그룹회장의 퇴진을 전제로 화의를 수용하는 것과 은행들이 직접 법정관리를 신청, 법원의 주도로 회사정리절차를 밟는 방안 등 두가지를 놓고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관련기사 3면> 이 자리에는 내무부 고위관계자도 참석, 법정관리로 갈 경우 노조파업등에 대한 대비책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뒤 림창렬 통산부장관은 『기아사태를 조기에 매듭지어야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하고 『가급적 금주중에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기아사태를 더 이상 방치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은행단도 조기해결에 대해 공감하고 있어 이른 시일 내에 가시적인 해결방안이 제시될 것』이라며 『정부와 채권단의 협의에 이어 필요하다면 기아그룹 관계자들과도 만나 대안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조건부 화의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김회장이 끝내 사퇴하지 않을 경우 채권은행들이 직접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아그룹은 이에 대해 『김회장의 퇴진을 전제로 한다면 어떤 것도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송병남 경영혁신단 사장)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하고 있다. 그룹의 한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사태의 핵심은 정상화이며 감정 등 다른 요소는 배제돼야 한다』는 말로 김회장 중심의 경영정상화가 최선임을 강조했다. 기아는 『자금지원보다 수출환어음(D/A)할인, 수요자금융, 협력업체 진성어음할인 등 기아사태 이전의 정상적인 경영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이 최선책』이라며 정부의 기아사태 해결의지가 기아에 대한 지원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했다. 기아측은 화의를 재차 강조하는 한편 정부가 사실상 기아사태에의 개이블 선언한 이상 정부, 채권단, 기아가 자리를 함께 해결방안을 협의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김준수·정승량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