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부채 2013년 1,000兆 간다

올해만 60조 급증할 듯 … 고물가ㆍ소득감소 여파

가계부채가 2013년에는 1,0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4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가계부채는 892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5조6,000억원 늘어났다. 8월부터 금융당국이 강력한 가계대출 억제책을 썼지만 3ㆍ4분기 증가액이 16조2,000억원에 달했다. 10월 들어 증가세가 더 가파른 점을 고려하면 4ㆍ4분기에도 15조원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그렇게 되면 올해 가계부채 증가액은 60조원을 훌쩍 넘게 된다. 가계부채 연간 증가액이 60조원을 넘은 것은 두 번 있었다. 2006년(62조3,000억원)과 2010년(67조3,000억원)이다. 2006년은 사상 최대의 부동산 호황기였다. 지난해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자 빚을 내 집을 사는 사례가 많았다. 올해는 채무내용이 좋지 않다. 고물가와 실질소득 감소로 생계비 마련을 위해 빚내는 사람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07년(59조4,000억원), 2008년(59조5,000억원), 2009년(54조8,000억원) 등 2006년 이후 한 해 가계부채 증가액이 50조원 밑으로 떨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지더라도 내후년 하반기 가계부채는 1,000조원을 돌파하게 된다.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는 셈이다. 아직 가계부채 연체자가 급증하고 파산이 속출하는 ‘부채대란’은 없으나 조짐은 심상찮다. 지난해 12월 2만9,000개였던 우리은행의 적금 중도해지 계좌가 올해 10월 4만7,000여개로 무려 65% 급증했다. 지난해 4만개 미만이던 신한은행의 월별 적금 중도해지 계좌도 10월에는 약 5만개로 늘었다. 새로 가입한 보험계약은 올해 4∼8월 654만여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만건가량 줄었다. 올해 가계대출자의 이자부담 총액은 56조원이다. 가계부채가 1,000조원을 넘어서면 이자부담은 60조원을 초과하게 된다. 가계발 부채대란이 우려되는 이유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