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장기기증 희망자 늘었지만 시술 혜택은 극소수

'사망' 때까진 시간 걸려 "수급 불균형"<br>이식 대기자 급증… 장기매매 악순환


장기이식의 수급불균형이 심각하다. 매년 장기기증을 희망하는 신청자가 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장기기증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15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장기이식 대기자수는 2001년 8,397명에서 지난해 1만7,219명으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비해 실제 장기이식건수는 2001년 1,781건에서 지난해 2,321건으로 20%정도 늘었다. 장기이식을 받는 비율은 10% 수준에 머물러 대다수 환자들은 장기이식에 대한 불안감으로 하루하루를 버티는 상황이다. 장기이식건수가 소폭이나마 증가한 것은 장기를 기증한 뇌사자수가 2001년 52명에서 지난해 141명으로 급증한 덕을 본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장기를 기증한 뇌사자로 인해 이식된 건수는 600건에 달해 지난해 2,321건의 총 장기이식건수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가족들이나 친지들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일부 장기를 기증하는 사례는 2001년 1,383건에서 지난해 1,482건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뇌사자 장기기증이 없으면 사실상 장기이식에 대한 대책이 없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는 “올해들어서도 두달만에 장기이식 대기자가 추가로 600여명 이상 증가했다”면서 “앞으로 노령화와 만성병 증가로 대기자 규모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역설적으로 장기기증 희망자는 2001년 6,844명에서 지난해 18만명으로 무려 30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는 힘든 실정이다. 비혈연관계일 경우 생존상태에서 장기를 일부 기증하기도 힘들고 희망자가 사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적지 않아 장기이식수급 불균형 해소가 쉽지 않다. 결국 돈을 노리고 일부 장기를 매매하는 행위가 브로커들에 의해 자행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복지부는 이에 따라 장기 기증자가 반드시 본인임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장기이식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올 상반기중 시행에 들어갈 방침이다. 서울대병원, 삼성의료원 등 75개 장기이식의료기관 내에는 ‘순수성 평가위원회’도 설치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