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주사 테마' 두산·금호 飛翔

두산, 지배구조 개선 기대 외국인 '사자' <br>금호석유, 보유 지분가치 1兆넘어서




'지주사 테마' 두산·금호 飛翔 두산, 지배구조 개선 기대 외국인 '사자' 금호석유, 보유 지분가치 1兆 넘어서 이학인 기자 leejk@sed.co.kr 두산그룹과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주사 등극’이 예고된 ㈜두산과 금호석유화학 주가가 날아오르고 있다. 특히 두산의 경우 총수일가에 대한 집행유예 판결이후 지배구조 개선속도가 한층 빨라 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최근 금호타이어지분 32%를 전격인수한 후 그룹내에서 지주사로서의 위상이 한층 강화되고 있는 상태다. 또 우량 자회사를 보유한 지주사의 자산가치가 점차 부각되고 있다는 점도 이들 종목의 주가 탄력을 한층 높여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두산, 지배구조 개선 탄력 기대= 지난 8일 두산그룹 총수 일가에 대한 법원의 집행유예 결정이 내려진 이후 ㈜두산,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등 두산 계열사의 주가가 동반강세를 보이고 있다. 두산그룹주의 강세는 법원판결을 계기로 지배구조개선 작업이 한층 빨라지고 지주사 전환을 위해 계열사의 지분 처분 및 이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가능성 등이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특히 그룹의 모회사로 지난달 발표된 그룹의 구조조정계획에 따라 3년 내 지주사 등극이 예정된 ㈜두산은 최근 9거래일 동안 27%의 주가 상승률을 보일 정도로 급등세를 타고 있다. 외국인 매수세 유입도 눈길을 끄는 대목. 외국인들은 지난달 그룹 구조조정 계획 발표 즈음부터 ㈜두산을 꾸준히 사들여, 10% 수준이던 지분율을 13.87%까지 끌어올렸다. 지난해 오너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주식시장에서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한 두산이 법원판결 등을 계기로 저평가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성훈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외국인의 매수세는 저평가 메리트에다 지배구조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금호석유, 보유지분 1조원 넘어= 최근 금호타이어 지분 인수를 계기로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주사 위상이 강화된 금호석유의 주가는 지난 9일 2만1,450원대에서 21일 2만6,950원으로 급등했다. 기존에 금호산업(지분율 32.5%)과 아시아나항공(14.6%) 등의 지분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금호석유는 최근 금호타이어(32%) 지분을 인수함에 따라 보유지분가치만도 1조원대를 넘어서게 됐다. 또 대우건설, 대한통운 등의 인수에 뛰어든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31.6%) 지분의 추가 인수도 예상된다. 이희철 CJ투자증권 연구원은 “금호그룹이 대우건설 및 대한통운 등의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것도 보유자산의 유동화라는 차원에서 금호석유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했다 최상도 부국증권 애널리스트는 “금호타이어 인수는 단기적으로 차입금 증가로 이어져 재무구조를 악화시키겠지만 배당금 유입과 지분법 평가이익의 증가를 고려할 때 긍정적”이라며 “이번 지분 인수는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최 애널리스트는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오는 2010년께 지주사체제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금호석유의 경우 지주회사가 전환되면 변동성이 큰 석유화학 중심의 영업구조에서 벗어나 투자자산으로 수익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입력시간 : 2006/02/21 17:2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