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기업 3곳 중 1곳 "한미 FTA 후 수출 늘어"

한미 FTA 발효 이후 1년간 대미 수출중소기업 세군데 중 한 곳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동차ㆍ조선 업종의 대미 수출이 급증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0∼27일 대미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조사한 결과 기업의 32%가 한미 FTA 발효 이후 수출이 늘었다고 3일 밝혔다. 그중에서 자동차ㆍ조선 업종의 수출 증가율이 193.2%로 가장 높았으며 의료기기ㆍ의약 업종(115.9%)과 기계 업종(93.7%)도 수출이 많아졌다.


수출 증가 이유로 기업의 해외 마케팅 노력(51.0%), 품질 경쟁력 향상(15.6%), 관세 인하로 인한 가격 경쟁력 향상(11.5%),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 개선(11.5%) 등을 꼽았다. 그러나 조사 대상 기업의 54.3%는 수출액의 변화가 없으며 13.7%는 오히려 감소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감소 이유로는 미국 시장 내 경쟁 심화(53.5%)가 꼽혔다. 대미 수출 관련 기업의 애로 사항은 신규 바이어 발굴의 어려움(29.9%), 원산지 증명 발급 애로(24.0%), 미국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18.8%), 미국 인증 획득의 어려움(14.8%) 등이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한미 FTA 체결로 대미 수출은 증가했지만 일부 업종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바이어 발굴과 각종 인증 비용ㆍ원산지 증명 지원 등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는 이달부터 관세청과 함께 맞춤형 컨설팅 사업을 통해 수출 중소기업의 FTA 활용 및 원산지 증명 발급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출 기업에 원재료나 완제품을 공급하는 기업도 지원 대상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