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즐거운 한가위/차례상 차리기] 음양오행에 맞춰 정성껏 준비를

지방마다 다르지만 '5열' 기본…첫번째줄엔 송편·토란국<br>두번째줄엔 어동육서에 따라 왼쪽 육류, 오른쪽에 생선<br>다섯째줄은 대추^밤·배·감 순서의 조율이시가 원칙

예로부터 한가위에는 한해의 수확을 감사하기 위해 조상에게 차례상을 올려 예를 갖췄다. 한 종가집에서 전통 차례상을 차려놓고 차례를 지내고 있다.


한 해의 수확을 감사하고 다음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가 다가왔다. 무더운 여름의 인생사가 힘들었어도 이 때만 되면 가족ㆍ친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첫 수확의 풍성함과 조상들의 은복에 감사의 제를 올리게 된다. ‘1년 365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의 기원은 1년 중 가장 좋은 날인 한가위에 조상에게 감사의 예(禮)를 올리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매년 반복되는 연례행사라도 정확하게 기억하기는 쉽지 않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을 살펴보고 예에 어긋남이 없는 뜻 깊은 한가위를 맞이해보자. 제수 상차림은 일반적으로 우주와 인간 사회의 모든 현상과 생성ㆍ소멸을 설명하는 음양오행설을 따른다. 땅에 뿌리를 둔 음식은 음(陰)을 상징한다고 생각해서 그 종류의 수를 짝수로 맞추었고 그 외의 음식은 하늘에서 얻어진 것이라 해서 양(陽)의 수인 홀수로 맞췄다. 차례 때 향을 피우는 것은 부정을 깨끗하게 하는 정화 기능과 신성함을 상징한다. 인간 삶의 더러움을 털어내고 조상신이 와서 앉을 수 있는 순수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향을 피운다. 술잔을 올릴 때는 모사(茅沙ㆍ제사를 지낼 때 그릇에 담은 모래와 거기에 꽂는 띠의 묶음) 그릇에 술을 나눠 붓는다. 모사 그릇에는 모래가 담겨 있는데 이는 땅을 상징한다. 땅 속에 있는 조상을 부르는 의식인 셈이다. 이 의식은 향을 사르며 하늘에 있는 조상을 부르는 행위와 대응된다. 차례상은 지방에 따라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5열’을 기본으로 한다. 병풍 쪽 신위로부터 첫째 줄에는 밥과 국, 잔, 수저가 놓이고, 밥은 신위 왼쪽,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즉 평상시 밥과 국이 놓이는 위치와 정반대로 밥이 서쪽, 국이 동쪽을 향하는데 ‘반서갱동(飯西羹東)’이라고 한다. 이는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가 다름을 의미한다. 추석에는 특히 메(밥)와 갱(국) 대신에 송편과 토란국을 올린다. 그 이유는 바로 떡이 곡식으로 만든 가장 정결한 먹거리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추석 송편은 둥근 달과 알찬 곡식을 의미한다. 두 번째 줄에는 적(구운 고기)과 전을 놓는데 ‘어동육서(魚東肉西)’에 따라 왼쪽에는 육류를 오른쪽에는 생선을 올린다. 이때 생선은 ‘두동미서(頭東尾西)’ 원칙에 따라 머리가 오른쪽, 꼬리가 왼쪽으로 가도록 한다. 음양오행설에 따라 동쪽은 남쪽과 더불어 양의 방향을 뜻하므로 머리는 소생과 부흥을 상징하는 동쪽으로, 꼬리는 암흑과 소멸을 상징하는 서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셋째 줄에는 탕 종류를 올리는데 왼쪽부터 쇠고기 등 육탕, 두부ㆍ채소류의 소탕, 어패류의 어탕을 순서대로 배치한다. 이때 땅에 뿌리를 두지 않은 고기나 생선은 하늘에서 얻어진 천산(天産)이기 때문에 양의 숫자인 홀수로 놓는다. 또 탕에 건더기만 떠서 놓는 것은 조상이 드시기 편하게 한다는 의미다. 넷째 줄은 ‘좌포우혜(左脯右醯)’에 입각해 왼쪽에는 북어ㆍ대구 등 포를 놓고 오른쪽에는 식혜를 놓는다. 중간에는 삼색나물, 동치미, 간장 등을 놓는다. 삼색나물은 홀수로 놓고 동치미는 깨끗하고 순수한 음식을 올려 예를 갖춘다는 뜻이 담겨있다. 마지막으로 차례상의 맨 앞인 다섯째 줄은 과일이 차지한다. 과일을 놓을 때는 ‘동조서율(東棗西栗)’, ‘조율이시(棗栗梨枾)’, ‘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른다. ‘동조서율’은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원리를 의미한다. 대추의 붉은색은 해를 상징해 동쪽에 두고, 밤은 한자에서 보듯 서쪽에 심은 나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서쪽에 놓는다. 조율이시는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놓는다는 것. 하지만 문중에 따라서는 ‘조율시이’로 대추-밤-감-배의 순으로 놓기도 한다. 또 ‘홍동백서’라 하여 동쪽에 붉은 과일을 서쪽에 흰 과일을 올리기도 한다. 과일의 종류는 귀함을 뜻하는 양(陽)의 수인 홀수로 놓는다. 이때 과일의 위아래를 깎아 놓는 이유는 잘 세우기 위해서 이기도 하지만 조상이 드실 수 있도록 정성으로 다듬는다는 의미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