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계층갈등이 사회통합 저해" 77%

사회통합委국민 의식조사 "국민으로 자부심" 65%


우리 국민 10명 가운데 약 8명은 사회통합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갈등으로 '계층 간 갈등'을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해결이 시급한 사회갈등으로도 계층갈등이 꼽혔으며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경제ㆍ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게 우선돼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위원장 고건)는 23일 종로구 삼청각에서 월례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사회통합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중간 발표한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사회통합에 가장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갈등 요인과 관련, 계층갈등에 대해 '심한 편' 혹은 '매우 심한 편'이라는 응답(복수응답)이 전체의 7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념갈등에 대해 '심하다'는 응답이 68.1%로 그 뒤를 이었으며 ▦노사갈등 67.0% ▦지역갈등 58.6% ▦환경갈등 5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통합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갈등에 대한 질문에도 전체의 57.6%가 '계층갈등'을 꼽았으며 그 뒤를 ▦노사갈등 37.3% ▦지역갈등 32.3% ▦이념갈등 30.6% 등이 이었다. 또 사회통합의 전제조건에 대해서는 전체의 30.7%가 '경제적 약자 배려'라고 응답했으며 ▦기회균등 22.1% ▦시민의식 제고 21.3% ▦법치주의 제고 18.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사회통합을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할 기관으로는 정부라는 응답이 82.4%로 가장 많았으며 국회(정당)가 32.9%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느냐'는 질문에 긍정 답변이 65.0%로 부정 응답(6.7%)을 압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보수성향의 서진영 고려대 명예고수와 진보성향의 한상진 서울대 교수가 사회통합과 관련한 주제발표를 했다. 서 교수는 "한국에서 정치는 갈등을 조정하고 해소하기보다는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이용하는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우리 사회의 통합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 대다수의 관심과 이익을 대표하고 집약할 수 있는 정치체제, 특히 정당체제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한국 사회의 한 특징은 갈등의 심각성은 높은데 소통능력은 현저히 저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정치제도권 소통에 대한 국민체감지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야 간 소통'이 지난 2007년과 2010년 조사에서 모두 100점 척도에 23점으로 나타나 '거의 절망적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