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생명을 살리자] <3> 자살 예방사업 성공하려면

자살관련 DB 만들고 NGO·재단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을<br>자살자 가족 사후조사 등 국가차원 정보 축적 필요<br>각 지자체 정신보건센터에 전담인력·예산 적극 지원을<br>전문적 상담인 육성 시급… 고위험군 대상 교육도 절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등 자살예방단체 소속 회원들이 서울 주요 도심지역에서 생명존중, 자살 예방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공=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생명을 살리자] 자살 예방사업 성공하려면 자살관련 DB 만들고 NGO·재단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을자살자 가족 사후조사 등 국가차원 정보 축적 필요각 지자체 정신보건센터에 전담인력·예산 적극 지원을전문적 상담인 육성 시급… 고위험군 대상 교육도 절실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등 자살예방단체 소속 회원들이 서울 주요 도심지역에서 생명존중, 자살 예방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공=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국내 자살 사망자는 한해 1만5,000여명에 달한다. 자살 시도를 하는 사람은 연간 20만명, 자살을 시도한 사람은 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자살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은 2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09년 기준으로 남성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39.9명, 여성의 자살사망률은 10만명당 22.1명으로 남성이 압도적이다. 연령대별로 볼 때 80세 이상이 127.7명으로 가장 높고 70대가 79명, 60대가 51.8명, 50대가 41.1명으로 80대 이상 노인의 자살률은 20대의 자살률보다 5배 이상 높다. 인구 10만명당 노인 자살률은 80여명으로 일본(17.9명)ㆍ미국(14.1명)보다 네다섯 배 이상 높다. 노인 자살률은 34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노인 빈곤율(중위소득 미만)이 45%로 1위를 차지한 데 기인한다. 국내 노인 빈곤율은 일본(22%)·그리스(23%)·미국(24%)의 두 배에 달한다. 이시형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은 "상대적으로 자살사망률이 낮은 20~30대에서도 사망 원인 중 자살이 단연 1위로 이미 30%를 넘어섰다"며 "자살은 개인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병리현상으로 자살이 사회공동체 모두의 문제라는 인식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한국자살예방협회가 지난해부터 전국 8개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자살 시도자 2,000명에게 실시한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30%는 정신질환, 30%는 만성질환에 따른 것이다. 특히 노령층으로 갈수록 신체적 문제인 만성질환이 주요 자살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의 자살 확률이 정상인보다는 높지만 자살은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남궁기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교수는 "흔히 우울증 등을 앓고 있는 정신질환자들이 자살을 시도한다고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며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직접적 계기는 갑작스러운 사회경제적 위치의 상실 혹은 갑작스러운 역할이나 지위 변동으로 인한 공황적인 심리상태, 주체할 수 없는 분노 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정서적인 면을 중시하고 벌어진 상황이나 대인관계에 대처함에 있어 정서적 판단을 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직업군별로는 무직ㆍ가사ㆍ학생군이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ㆍ사무종사자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잘나가던 회사 임원도 구조조정으로 자리를 빼앗길 경우 무직 상태에서 극도의 스트레스와 정신적 압박을 받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영문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장은 "자살은 국가 권력 전체의 문제"라면서 "극한 상황을 만드는 것, 경제공황으로 인한 아노미 현상, 개인파산자를 만드는 산업자본, 열등감을 심어주는 입시정책, 대량 해고사태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자살 예방대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신속하게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정부기구(NGO)나 재단 등과의 유기적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자살 시도자들과 접촉할 수 있는 응급의료센터에서 자살 시도(사망)자 가족에 대한 사후조사를 국가가 의무화해 필요한 자살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것도 방안이다. 자살 관련 통계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되면 정부와 민간의 자원을 집중할 수 있어 자살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자살 관련 실태조사 및 통계 DB 구축작업이 수행된다면 단순한 나열식 자살 예방대책에서 탈피할 수 있다. 현재 정부의 자살 예방사업은 각 지방자치단체별 정신보건센터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전담인력과 예산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자살 예방사업은 정신보건센터(지자체 소속)가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담당자들의 주 업무는 중증 정신질환자, 정신건강, 알코올 중독, 우울증 등을 관리하는 정신보건사업이다. 자살 예방사업은 부수적인 업무에 불과하다. 자살은 사회ㆍ환경적 사업인 이혼, 사회안전망 구축, 노인학대 예방 및 독거노인 지원 등과 정신・보건적 사업인 알코올 및 약물 중독자 관리, 우울증 조기검진 및 치료 등이 병행돼야 하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각 지역의 정신보건센터가 119나 대학병원의 응급구조 인프라, 자살 예방 NGO와 협력하지 못하면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다.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주위를 살펴보고 자살 징후를 발견한 후 전문가에게 인계해주는 '상담인(Gate Keeper)'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지역정신보건센터에는 '상담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신보건전문요원이 근무하고 있다. 8,000명이 넘는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배출됐지만 전문요원 수련과정 중 자살 예방과 관련한 교육이 표준적이지 않고 2시간 정도의 강의식 교육이 전부다.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한국자살예방협회는 '한국형 자살 예방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형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오는 2013년까지 개발해 지역사회에 아동과 청소년ㆍ노인과 같은 자살 고위험군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군ㆍ경찰ㆍ소방ㆍ교사ㆍ교도관ㆍ종교인 등에게도 교육을 실시, 국가적 자살 예방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생명을 살리자] 기획연재 전체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