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MS·오라클 요구 받아들이면 삼성 영업익 30% 곤두박질

특허료 덫에 걸린 안드로이드 업계<BR>팅크웨어·코원·아이리버 등 국내 중소업체도 타격 불가피<BR>MS, 삼성에 로열티 받는 대신 '윈도폰7 제조' 타협 나설수도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둘러싼 주요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들의 특허소송은 안드로이드의 부상을 본격적으로 견제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핵심인 OS시장에서 안드로이드의 독주를 허용해서는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는 생존 차원의 대응인 셈이다. 구글은 지난 2005년 미국 실리콘밸리의 모바일 개발업체 '안드로이드'를 인수하며 모바일 OS시장에 뛰어들었다. 2008년 대만 스마트폰 전문업체 HTC와 손잡고 첫 안드로이드폰을 내놓았을 때만 해도 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이미 글로벌 휴대폰시장에 노키아를 필두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버티고 있어 성공 가능성을 점치기 어려웠던 탓이다. 하지만 애플 '아이폰'이 불러온 스마트폰 열풍은 오히려 안드로이드의 성장을 앞당겼다. 1위 노키아의 '심비안' OS가 추락을 거듭하자 스마트폰시장에서 아이폰의 유일한 대항마로 부각되며 본격적인 성장가도를 달리기 시작한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안드로이드는 올해 스마트폰 OS시장에서 심비안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섰다. 오는 2015년에는 점유율 48.8%로 전체 스마트폰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드로이드 진영 급성장, 특허료 기대수입도 급증=그동안 잠잠했던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라클이 이제 와서 안드로이드에 대한 특허권을 주장하고 나서는 것은 안드로이드시장이 충분히 규모의 경제를 이뤘다는 판단에서다.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인 안드로이드폰 제조사로부터 막대한 로열티 수입을 거둘 수 있는데다 경쟁사까지 적극적으로 견제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여기에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안드로이드폰 제조사로 부상한 것도 주된 이유 중 하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갤럭시S'를 포함해 2,000만대 이상의 안드로이드폰을 판매했다. 안드로이드폰의 성장세에 힘입어 글로벌 스마트폰시장 점유율은 2007년 9위에서 지난해 4위로 훌쩍 올라섰다. 올해는 갤럭시S2를 앞세워 5,000만대 이상의 안드로이드폰을 판매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올 2∙4분기 글로벌 스마트폰시장에 1,900만대 내외의 스마트폰을 판매했다. 이중 독자 OS '바다'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폰7'을 제외하면 1,700만대가 안드로이드폰이다. MS와 오라클의 주장대로 대당 15달러와 20달러의 로열티를 지불하면 분기마다 6,500억원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번 분기 휴대폰 부문 영업이익이 1조6,000억원으로 추산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업이익의 30%가량이 줄어든다. 안드로이드폰을 생산하는 LG전자와 팬택 등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MS가 국내 업체에 전방위로 로열티를 요청해올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 기반 단말기를 생산하고 있는 팅크웨어ㆍ코원ㆍ아이리버 등 국내 중소업체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팬택의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MS로부터 로열티와 관련해 공식적인 요청을 받은 바가 없다"며 "특허 담당부서와 공조하면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MS, 윈도폰 확산 위해 삼성전자 압박(?)=업계에서는 MS의 이 같은 움직임이 삼성전자를 압박하기 위한 견제 차원의 성격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 MS는 지난해 윈도폰7 OS를 출시하며 스마트폰시장 주도권 탈환에 나섰지만 기대만큼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올 2월 노키아와 손잡고 노키아 스마트폰에 윈도폰7을 탑재하기로 했지만 성공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MS가 삼성전자로부터 안드로이드에 대한 로열티를 받는 대신 협상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세계 최대 안드로이드폰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제휴를 통해 자사의 스마트폰 OS인 윈도폰7을 일정량 이상 제조하는 식으로 타협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무책임한 구글=일각에서는 안드로이드를 단말기 제조사에 공급하는 구글에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글은 스마트폰 OS 안드로이드를 무료로 공급하는 전략을 내세워 스마트폰시장의 맹주로 올라섰지만 정작 이해관계가 첨예한 특허분쟁에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조규환 특허청 사무관은 "정부 차원에서도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개별 기업 간 사안인 만큼 정부가 직접 개입했다가는 불공정 무역의 소지가 있다"며 "글로벌 IT시장에 특허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어 국내 기업에 글로벌 특허 동향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