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성 이혼요구, 남자의 3배

보건사회硏 실태 보고…원인도 70년대 '외도'·2000년 '성격차'가 1위 차지


결혼시기와 기간에 따라 이혼ㆍ별거하는 이유가 달라지고 있으며 여성들이 이혼ㆍ별거를 요구하는 경우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06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이혼ㆍ별거한 15∼49세 기혼부인 476명을 대상으로 이유를 살펴본 결과 ▦성격차이(25.4%) ▦경제 문제(24.6%) ▦배우자 외도(21.2%) 등이 주요 이유였다. 결혼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는 ▦성격차이(26.9%) ▦경제 문제(19.8%) 등이 이혼ㆍ별거의 주요 요인이었고 결혼기간 10∼20년 미만은 ▦배우자의 외도(29.5%) ▦경제 문제(24.2%) 등이 큰 이유로 작용했다. 결혼기간 20년 이상은 ▦경제 문제(30.0%) ▦성격차이(24.7%)가 이혼ㆍ별거의 이유가 됐다. 결혼한 시대별로 이혼ㆍ별거 원인도 차이를 보였다. 지난 70년대까지는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ㆍ별거가 26.2%로 가장 높았다. 80년대 결혼한 여성들은 경제 문제, 성격차이, 배우자 외도 순이었으며 90년대 결혼한 여성들은 경제 문제, 성격차이, 가족부양의무 불이행 등의 이유를 보였다. 2000년대 결혼한 여성들은 성격차이, 가족부양의무 불이행이 이혼ㆍ별거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에 결혼한 부인일수록 배우자 외도로 인한 이혼ㆍ별거 비율은 낮아지는 반면 성격차이나 가족부양의무 불이행 등으로 인한 이혼ㆍ별거 비율은 높아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이혼ㆍ별거를 먼저 제의한 쪽은 남성이 24.4%, 시부모나 친정부모가 3.6% 등인 반면 여성은 72.0%로 여성들이 이혼ㆍ별거를 제의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