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떼쓰기 파업에 등돌린 조합원

현대차 노조위원장 선거서 강성후보 모두 탈락<br>온건성향 2명 결선 진출


현대자동차 차기 노조위원장 선거에서 강성 성향의 후보들이 모두 탈락했다.

6일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지난 5일 실시된 제5대 위원장 1차 선거 결과 전체 투표 조합원 4만2,883명 가운데 이경훈 후보가 1만9,489표(45.42%)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하부영 후보는 8,262표(19.25%)로 2위에 올랐다. 과반득표자는 나오지 않았다.


이번 선거에서 특이한 점은 강성 후보들이 모두 탈락했다는 것이다. 이번 선거에는 이 후보와 하 후보 외에 김희환 금속연대 의장과 손덕헌 전 노조 부위원장, 김주철 전 민주노총 울산본부장 등 모두 5명이 출마했다. 이 가운데 강성으로 분류되는 3명은 결선투표 진출에 실패했다. 김희환 의장은 14.44%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고 손 전 노조 부위원장(11.43%)과 김 전 민주노총 울산본부장(8.66%)도 조합원들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8일 실시되는 결선투표에는 실리와 합리 노선을 추구하는 두 후보만 오르게 됐다. 이 같은 조합원들의 표심은 지난 2년간 노조를 이끌며 장기파업을 전개한 강성 성향의 집행부에 대한 조합원들의 반감이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결선투표에 나서는 이 후보는 2009년부터 3년간 노조를 이끌며 임단협을 무분규로 마무리한 인물이다. 올 2월 이 후보의 조직인 '전현노'와 '현장혁신연대'가 조직대통합을 이뤄내며 가장 탄탄한 조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후보는 완전월급제와 상여금 800% 인상, 60세 정년연장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에 맞서는 하 후보는 '현민노' '현민회' '소통과 연대' 등 군소조직과 연대했으나 조직력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 후보는 퇴직금누진제와 조건 없는 정년연장, 노사 단협준수 감시기구 설치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지역 노동계의 한 관계자는 "강성 후보들이 모두 탈락한 이번 1차 선거 결과는 강성 집행부에 대한 조합원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곧 강성인 현 집행부에 대한 평가로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영동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