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7월13일] <1446> 뉴욕 징병 폭동


1863년 7월13일 월요일 뉴욕. 시민들이 웅성거렸다. 오전10시를 기해 관청과 우체국에 나붙은 2차 징병 대상자 공고문 때문이다. 동요는 곧 폭동으로 바뀌었다. 엔진공장 노동자 400여명은 관청과 부유층의 집에 돌을 던졌다. 남북전쟁이 한창인 와중에 북부의 심장부에서 왜 징집 소요가 일어났을까. 차별 탓이다. 병력과 자금부족에 고심하던 링컨 행정부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며 내놓은 연방징병제가 문제를 일으켰다. 30만명의 신병이 필요했던 북군은 18세부터 35세까지 백인남자에게 3년간 군복무를 의무화했으나 문제는 예외조항. 300달러(요즘 가치 약 5,200달러)를 내면 대체근무자를 보내는 조건으로 병역을 면제 받을 수 있다는 예외가 화를 불렀다. 주말 1차 징병 대상이 발표될 때만 해도 별다른 문제없이 지나가는 듯했지만 일요일 게티스버그 전투의 전사자 명단이 붙은 뒤 발표된 징병공고로 가난한 사람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현장에 나온 뉴욕경찰서장은 시민들에게 두들겨 맞았다. 가난했던 아일랜드 출신 노동자들이 주축인 폭동은 16일까지 도시 전역으로 번져 관청과 언론사ㆍ대저택이 불탔다. 놀란 링컨이 전장의 군병력을 불러들인 뒤에야 사태는 가까스로 진정됐다. 시민 피해는 공식적으로 120명, 부상 2,000명 이상으로 추정됐으나 실제로는 훨씬 더 많았다는 게 정설이다. 주요 피해자는 흑인. 자유를 얻은 흑인 때문에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한 아일랜드 노동자들은 애꿎은 흑인을 린치 대상으로 삼았다. 북군이 징집한 병력은 4만5,000여명. 당초 계획보다 훨씬 적었다. 북군은 흑인의 입대를 본격화하고야 병력부족에서 벗어났다. 권력자와 부자들이 돈을 내고 빠져나가는 행태에 일반국민들은 징집관을 피해 다녔다. 떳떳하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