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지자체장의 탈당과 지역발전

박희윤 기자<사회부>

“소속 정당이 충청권 지역민의 소망을 담아내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염홍철 대전시장과 심대평 충남도지사는 8일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들의 소속정당인 한나라당과 자민련이 충청 지역 지역민의 민의를 수렴하고 이를 실현하는 데 역부족이라며 탈당을 선언했다. 염 시장은 “한나라당은 신행정수도특별법 통과 이후에도 수도이전 반대의 중심에 서는 모순된 행동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행정도시특별법이 통과된 지금에도 위헌 심판 제기 주장과 단식 같은 극단적인 저항 속에 흔들리고 있다”며 “앞으로 착공과 부처를 이전할 때도 정략적인 접근이 불 보듯 뻔하다”고 우려했다. 심 지사도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추진 과정에서 충청권을 대변한다고 자임하는 자민련은 아무런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채 지역민들에게 실망만 안겨줬다”며 탈당의 변으로 삼았다. 두 자치단체장은 이처럼 하나같이 탈당의 명분으로 소속정당의 지역민 이해대변 실패 및 부족, 행정도시의 성공적 추진 등을 내세웠다. 그러나 이들의 소속 정당 탈당에 대해 지역주민들은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지역발전과 행정도시 성공적 건설이라는 순순한 뜻과 별개로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나온 행동이 아니냐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정치적 뜻을 세운 심 지사의 경우 단체장으로서 마지막 시점에 와 있고 염 시장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간판으로 재선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에서 각기 결단을 내렸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정치적 해석은 지역민들에게 걱정거리를 던져주고 있다. 이들의 탈당과 향후 정치행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이들 탈당이 과연 탈당 명분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줄지 아니면 부정적 영향을 미칠지 하는 점이다. 단체장이 당을 떠났다고 행정도시 건설이 보다 잘 이뤄질 수 있을지, 지역민의 이해를 보다 잘 대변해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을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시각이다. 이들 단체장은 정당의 이익보다 국가적 이익을 우선시 해야 하며 지역민의 뜻을 실현시켜주는 것이 단체장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지역민들은 이들 단체장의 정치적 뜻이 무엇이든 지역발전과 지역민을 위해 과거 어느 때보다 더욱 열심히 일하는 단체장의 모습을 기대하고 있을 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