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환율급락 충격 최소화해야

원ㆍ달러 환율이 급락하고 있어 그렇지 않아도 발걸음이 무거운 우리 경제에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환율 하락은 미국의 재정ㆍ무역적자 등 이른바 쌍둥이 적자 해소를 겨냥한 미국 정부의 약(弱) 달러 정책에 따른 것으로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유로ㆍ달러 환율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고 엔ㆍ달러 환율도 4년6개월 만에 최저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 중국에서는 달러 투매 현상이 나타나는 등 아시아 국가는 물론 심지어 중남미 지역에서도 현지화폐 가치가 뛰어 올랐다. 존 스노 미 재무장관의 달러 약세 용인 발언으로 미뤄볼 때 달러 약세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시장은 19~20일 열리는 선진ㆍ신흥공업국(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이 문제가 거론돼 달러약세에 제동이 걸리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지만 대세변화의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일부에서는 달러화가 추가로 20~40%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제2의 플라자 합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우리의 환율 하락 폭이 너무 가파른데다 지금 우리경제 상황으로 볼 때 그 충격이 다른 나라와 다르다는 점이다. 원ㆍ달러 환율은 최근 한달새 1,150원대에서 1,060원대로 떨어져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꼽히는 1,050원대까지 위협 받고 있다. 1달러=1,000원대는 거의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으며 950원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환율하락은 수입 원자재가 하락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 완화, 실질소득 증가효과 등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지금 경제상황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크다. 내수침체로 허덕이고 있는 우리 경제를 힘겹게 떠받치고 있는 것이 수출이다. 환율하락은 수출 위축을 가져오고 경제난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 정부와 기업은 환율 급락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달러 약세가 세계적 추세인 만큼 정부의 인위적인 환율방어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러나 단기간에 과도하게 하락하지 않도록 정부의 속도조절 노력은 필요하다. 기업들도 결제화폐의 다양화 등 단기적인 대책과 함께 중장기적으로 환율에 의존하는 수출전략 대신 품질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상품의 본질적 경쟁력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