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스마트크린의 힘… 잔반 배출량 절반으로 뚝

LG U+ 디지털 음식물 쓰레기통 도입해보니…<br>RFID기반으로 사용 쉽고 버린량 만큼 비용 부과 가구 부담도 확 줄어들어<br>구리시 등 지자체서 호응 LG "올 50곳으로 확대"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의 한 아파트 주민들이 LG유플러스의 음식물 처리 장비를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의 '스마트크린(Smart Clean)' 장비 도입 이후 음식물 쓰레기가 42%나 줄었습니다"

최근 만난 유승현 구리시 자원행정과 과장은 지난해 11월 도입한 LG유플러스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비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유 과장은 "각 아파트 단지에 스마트크린 장비 설치 이후 물기를 짜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가구가 늘었다"며 "구리 시민 대부분이 장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구리시 전체 7만1,000가구 중 1만4,000여 가구가 LG유플러스의 장비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사업이 지자체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LG유플러스가 선보인 스마트크린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량에 비례해 처리비용을 내게 하는 무선인식기술(RFID) 기반 서비스. 현재 구리시를 포함, 10여개 지자체에서 도입 중이며 LG유플러스측은 올 연말까지 50여개 지자체로 확대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크린의 인기비결로는 간단한 이용방법이 첫손에 꼽힌다. 이용자들은 카드를 이용, 해당 장비에 부착된 인식태그에 갖다된 뒤 뚜껑을 열어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으며 요금은 매달 지로 형태로 청구된다. 카드는 관리사무소에서 발급받을 수 있고 분실시 하루만에 재발급이 가능하다. 구리시 관계자는 "교통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어르신들도 쉽게 이용 가능하다"고 전했다.


합리적인 요금체계도 인기 원인으로 꼽힌다. 지금까지 구리시내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가구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으로 매달 1,500원 씩을 일괄적으로 부담해 왔다. 각 가구로서는 쓰레기량을 줄일 동기가 없었던 상황. 하지만 구리시 자체 조사결과 스마트크린 도입 이후 음식물 배출량은 물론 각 가구의 부담 또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집에 취사도구가 없는 1인 가구의 경우 음식물처리 비용을 아예 내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구리시에 거주하는 주부 김혜정(55) 씨는 "처음엔 카드를 찍고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다고 해서 불편할 줄 알았지만 관리사무소 등에서 홍보를 많이한 덕분인지 불편함 없이 이용하고 있다"며 "이전에는 음식을 필요이상으로 많이 조리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스마트크린 도입 이후 먹을 만큼만 음식을 준비, 여러모로 지출이 줄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기계당 매달 4,000원 정도의 요금을 정보 이용료 명목으로 부과, 안정적인 수익을 꾀할 수 있는 것 또한 스마트크린 사업의 장점이다.

LG유플러스 측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RFID 기반 음식물쓰레기 처리 사업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재 지자체 대부분이 도입중인 음식물 쓰레기 봉투 처리 방식이 오는 2016년부터는 완전 금지돼 이후 RFID 기반 시장규모가 연간 3,000억원에 이르는 등 확대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KT와 롯데정보통신 등도 스마트 음식물쓰레기 처리 사업에 팔을 걷어 붙이고 있어 시장 활성화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봉투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식이 음식물과 봉투를 따로 분리해 처리하는 탓에 비용 및 환경오염 문제가 많다고 판단해 2015년까지만 시행하기로 했다.

남승한 LG유플러스 사물형지능통신(M2M) 사업담당은 "LG유플러스는 수년간 음식물 쓰레기 처리 경험을 바탕으로 1위 사업자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며 "향후 통신기술 고도화 및 유지관리 시스템 지원으로 한층 개선된 서비스를 내놓겠다"고 전했다.

다만 이 같은 RFID 기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예산 확보가 우선돼야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현재 해당 장비 1대당 60가구가 이용할 수 있지만 대당 가격이 160만원 정도로 비용이 적잖이 드는 까닭이다. 이와 관련한 예산은 환경부가 전체의 30%를 지원하고 있으며 광역단체와 지자체가 각각 35%씩을 부담하고 있다. 지자체는 중앙정부에 예산지원 확대를 꾸준히 요청하고 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