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근태 "꽃가마 대신 십자가 짊어질 것"

김혁규·조배숙 동반사퇴로 후임승계 일단 무산<br>비대위장으로 '우회진입'하나

김근태 "꽃가마 대신 십자가 짊어질 것" 김혁규·조배숙 동반사퇴로 후임승계 일단 무산비대위장으로 '우회진입'하나 관련기사 • 김근태 옹립론 vs 불가론 맞서 • 김혁규·조배숙 사퇴… 與지도부 자동 해체 • 김두관 "당내 갈등 증폭시켜 송구" • 與 계파별 '강금실 끌어안기' • 與 계파 '내부분열' 시작되나 최고위원들의 연쇄 자진사퇴로 인해 열린우리당지도부가 사실상 해산되면서 당의장 승계가 무산된 김근태(金槿泰) 최고위원이 비상대책위 위원장을 맡아 임시체제를 이끄는 방안을 숙고하고 있다. 2.18 전당대회 차점자인 김 최고위원은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 사퇴후 당의 `구심력'을 회복할 후임 의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돼 왔으나, 4일 김혁규(金爀珪) 조배숙(趙培淑) 최고위원의 동반사퇴로 일단 당의장 후임승계는 좌절된 상태이기 때문. 의원들과 개별 접촉을 자제하면서도 전화통화 등을 통해 계파를 초월해 폭넓게당내 의견을 수렴해 온 김 최고위원으로서는 의장직을 승계하느냐하는 고민은 없어진 셈. 대신 김 최고위원은 최고위원 동반사퇴 의사를 즉각 밝히지 않으면서 7일 국회의원.중앙위원 연석회의에서 자신의 거취와 후임지도 체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취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이호웅(李浩雄) 이인영(李仁榮) 우원식(禹元植) 의원등 재야파 의원들과 긴급 모임을 갖고 이 같은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최고위원은 성명을 내고 "김혁규, 조배숙 최고위원의 결정을 존중하지만 동반사퇴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었다"며 "눈앞의 혼란을 방치하기 보다 당이 질서있게새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진정으로 책임지는 일이고 그것이 설사 독배를마시는 일이 되더라도 피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김 최고위원의 언급은 자신이 당헌.당규에 의한 후임 의장승계에 `직행'하지는 못했으나, `우회로'를 통한 당수장 진입의 길은 열어놓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반적인 당내 사정으로 미뤄볼 때 김 최고위원은 현 지도부 해체에 따른 비대위 구성과정에서 비대위원장에 추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비대위원장도 형식만 다를뿐 사실상 당의장 승계와 같다는 점에서 김 최고위원의 `고민'은 끝나지 않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은 것이다. 김 최고위원도 지도부의 일원으로서 선거참패의 책임을 상당부분 공유하고 있는만큼 비대위원장직을 덥석 받아들이기에는 어딘가 걸리는 부분이 있는 점이 고민의배경이다. 하지만 김 최고위원과 가까운 인사들은 그가 앞으로 더 이상 뒷짐을 진채 강건너 불보듯 사태를 관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다. 당이 선거참패의 충격파 속에서 `지리멸렬'한 상황에 빠져있는 만큼 비대위 구성과정에서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게 측근들의 설명이다. 김 최고위원측은 관계자는 "김 최고위원은 `꽃가마는 타지 않지만 십자가는 짊어지겠다'는 입장"이라며 "국민에게 또 송구스러운 모습을 보여줄 수는 없고 이제뒷짐지고 물러서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7일로 예정된 국회의원.중앙위원 연석회의에서 `김근태 비대위원장'으로당내 여론이 조성될 경우 당내 일각의 `제척사유론'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락할 것이라는 얘기이다. 김 최고위원도 "당이 단결해서 새롭게 전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정치를하는 동안 다시 독배를 마셔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그때의 판단은 똑같을 것이고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기쁘게 마시겠다"고 말해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했다. `과단성 부족'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던 김 최고위원이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에 처한 당의 부름에 응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 반대여론에 밀려 그대로 주저앉을 것인지에 당안팎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입력시간 : 2006/06/04 17: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