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전통시장 5곳 한류 관광명소로 키운다

컨설팅 지원·인테리어 개선 등 2016년까지 집중 지원 계획

서울시가 전통시장을 정비해 외국인도 즐겨 찾는 ‘한류 관광명소’로 육성하기로 했다. 도심과 주변 고궁 위주에 머물던 관광객의 동선이 각 자치구내 전통시장으로 확대되면 소비촉진은 물론 다양한 일자리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성북구 정릉시장ㆍ서대문구 영천시장ㆍ도봉구 신창시장ㆍ관악구 신원시장ㆍ강동구 길동시장 등 5개 전통시장을 권역별 선도시장으로 지정하고 오는 2016년까지 ‘서울형 신시장’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서울시는 먼저 협동조합이나 청년상인 등을 전통시장 안으로 끌어 들여 최신 소비 트렌드에 맞는 아이디어를 접목할 계획이다. 송화시장 ‘빨간오뎅’이나 영천시장 ‘꽈배기’, 남구로시장 ‘찹살순대’처럼 각 전통시장에 특화된 먹거리를 만들어 젊은이들이 찾아오도록 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올해 14명 수준인 경영ㆍ마케팅ㆍ문화ㆍ기획 등 분야별 전통시장 매니저를 내년에는 64명까지 늘려 컨설팅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전통시장의 고질적인 병폐인 불친절과 불결함, 원산지 속이기 등에 따른 불신 등 이른바 ‘3불(不)’을 줄이기 위해 가격·원산지 표시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한편 위생검사 강화와 인테리어 개선도 추진한다.

또 현금구매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티머니와 같은 간편한 결제 시스템도 도입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소비자도 상인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 사용환경을 완비할 계획”이라며 “상인들의 불만이 없도록 카드수수료율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책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들 전통시장을 홍보하기 위해 지하철, 버스, 가판대 등 시가 보유한 홍보매체를 총동원해 홍보하고, 정류장 명칭에 시장 이름을 더하는 작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특히 상인 교육과 해외사례 조사ㆍ연구 등을 전담할 정책기구인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도 설립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신업태 등장과 소비행태 변화, 기존 영업방식 고수 등 현실적 어려움이 전통시장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5개 시장을 성공모델로 만들어 서울시 전체 시장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20일까지 서울광장에서 시내 89개 전통시장이 참여한 ‘제1회 전통시장 박람회’를 연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광장시장 빈대떡과 목3동시장 깨비만두 등 다양한 전통시장 대표 먹거리를 맛볼 수 있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