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버블세븐 지역 집값 첫 하락세

한달간 평균변동률 -0.01%…소형평형이 상승률 둔화폭 커


정부가 버블세븐 지역을 지목한 지 한달 만에 이 지역 주간 평균 아파트 값이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버블세븐 지역 아파트 값 평균 변동률은 -0.01%를 기록했다. 버블세븐 가운데 송파(-0.27%)와 서초(-0.02%)가 하락세를 이끌었으며 서울 4곳의 평균은 -0.05%였다. 다만 강남ㆍ양천(0.03%)은 미미한 상승세를 보였다. 분당(0.05%)과 평촌(0.10%) 등 신도시 버블세븐 지역도 다른 신도시보다 상승폭이 작았다. 이와 함께 버블세븐 경고 이후 한달간 아파트 매매를 분석한 결과 10~20평대의 가격 상승폭은 크게 떨어진 반면 40평대 이상의 중대형은 상승률에 큰 변화가 없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정부의 버블 경고 이후 4주간(5월17일~6월15일) 서울 아파트 값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재건축아파트 포함) 전체 상승률은 버블 경고 이전 4주간 2.48%에서 이후 4주 동안 1.04%로 절반 넘게 떨어졌다. 특히 20평 미만은 2.83%에서 -0.54%로 하락 반전했고 20평형대(20~29평)도 2.04%에서 0.83%로 크게 줄었다. 30평형대(30~39평)도 2.69%에서 1.23%로 떨어져 절반 이하에 머물렀다. 반면 40평형대(40~49평)는 2.42%에서 1.72%로, 50평 이상 대형 아파트는 2.28%에서 1.88%로 둔화폭이 각각 0.70%포인트, 0.40%포인트에 그쳤다. 재건축아파트를 제외할 경우에도 20평 미만(1.14%→0.54%)과 20평형대(1.80%→0.81%)는 상승률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30평형대(2.42%→1.40%) 또한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40평형대는 2.38%에서 1.85%로, 50평형 이상은 2.21%에서 1.91%로 각각 상승률이 둔화돼 버블 경고 전후의 차이가 미미했다. 채훈식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1가구2주택 양도세 부담으로 인한 매물이 소형 평형에 집중되고 강남 재건축(소형 평형 집중) 값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소형 평형 상승률 둔화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정부 정책이 정작 대형 평형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