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스코, 피크시간 설비가동 중단 등 전력난 해소 동참

전기로 가동중단ㆍ자체발전 확대로 38만kw 확보

포스코는 전력대란 해소에 동참하기 위해 전기로 등 일부 설비 가동 중단과 자체 발전 확대를 통해 총 38만kw의 전력을 확보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포스코는 우선 전기로를 보유한 스테인리스 공장과 하이밀공장의 가동률을 조절하고 8월 피크시간대에 조업을 최대한 단축해 13만kw의 전기사용량을 감축한다. 포스코특수강도 2개인 전기로를 교차 가동하고 10월로 예정됐던 수리일정을 8월로 앞당겨 5만kw의 전기사용량을 줄일 계획이다.

또 하반기로 예정된 포항제철소 전기강판과 후판공장 수리계획을 앞당겨 8월 중에 실시함으로써 설비가동 중단기간에 2만kw의 전기사용량을 줄이기로 했다. 광양제철소 산소공장 일부도 가동 정지해 2만kw를 감축한다.


이와 함께 제철소 부생가스 발전설비의 수리를 하반기 이후로 미루고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 최대 가동 등을 통해 16만kw의 전기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그 동안 포스코는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 등을 활용해 총 전력사용량의 70%를 자가발전으로 충당해 왔다.

관련기사



이처럼 포스코가 전기사용량을 줄이고 자체 발전소에서 최대한 증산 발전해 확보할 수 있는 전력량은 총 38만kw에 이른다. 이는 100만가구가 1개월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며 이번에 가동 정지된 신월성 1호 원자력발전기 발전능력의 절반에 육박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피크시간대 한국전력으로부터의 수전량 감축비율도 50% 이상이 돼 올해 산업계 최대 목표인 15%를 훨씬 상회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설비 가동 일부 중단과 가동율 하향 조정에 따른 쇳물 부족은 최근 준공한 세계 최대 규모의 광양제철소 1용광로에서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포스코는 전 계열사 사옥에 LED 사용을 독려하고 건물 외벽에 단열 필름을 부착해 전기사용량을 감축할 계획이다.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