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지자체 스스로 공공기관 이전 구상을"

창원단지 혁신클러스터 방문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

“중ㆍ장기적으로 볼 때 지방정부 스스로의 힘으로 지역대학ㆍ민간업체 등과 공공기관 이전을 구상해야 합니다.”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16일 창원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지역본부에서 열린 창원단지 혁신클러스터 순회간담회에서 공공기관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혁신위원회가 종합적으로 점검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창원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 선정 배경에 대해 “신규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은 물리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거 우리 산업계를 주도한 창원산업단지가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창원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화는 비교적 잘 정비된 산업인프라와 새로운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적은 비용으로 경쟁함으로써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가 가능, 입주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창원산업단지에 기업과 연구소ㆍ대학ㆍ지원기관 등 클러스터화를 위한 핵심요소가 다 모여 있으나 산학협력 부문에서 매우 취약하다고 평가하고 공동의 혁신체계 구축을 통해 공단을 혁신적이고도 역동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성 위원장은 특히 “전국 35개 국가공단 가운데 창원ㆍ구미 등 7개 공단과 대덕연구단지가 침체상태에 빠져 있는 국가산업을 ‘웅덩이’에서 끌어낼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년부터 시스템 보완과 사업시행ㆍ인력충원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밖에 “삼성 등 대기업이 많은 이익을 내는 데 비해 중소기업들은 큰 어려움에 빠지는 등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은 중소기업이 대기업 연구소, 대학 등과 연결되지 못하고 고립돼 있기 때문”이라며 “모든 기업의 기술역량을 비축하고 폭넓은 산학협력, 연구개발 등을 통한 독자적인 기술역량을 비축하는 데 전력투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 위원장은 지자체별로 수립하고 있는 ‘균형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해 “실제 단계에서 1년 단위로 혁신위원회 평가를 받아 지역별로 점검할 방침”이라며 “중앙정부는 종합컨설팅 기능을 수행해 실효성을 높이고 중복을 없앨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