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계의 사설/4월 1일] 섣부른 올림픽 보이콧

티베트 사태를 계기로 유럽 국가들이 제안한 중국 베이징 올림픽의 보이콧(참가거부)은 현실로 일어날 가능성이 커보인다. 올림픽을 넉 달 남짓 앞두고 국제사회의 비난과 제재의 압박이 철회될 것이라는 중국의 기대가 물 건너간 셈이다. 미얀마ㆍ수단 정부와 같이 중국의 일당통치를 지지해 정치적 호혜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들과 이를 어떤 연유에서든 눈감아주고 있는 서방국가들은 결과적으로 올림픽 명성에 흠집을 남겼다. ‘국경 없는 기자회’는 얼마 전 그리스 올림피아에서 열린 성화 채화식에서 중국의 티베트 억압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을 포함한 유럽 정상들은 오는 8월8일 열리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 불참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몇몇 국가들은 베이징 올림픽의 전면 보이콧을 주장했다. 한 국가에 대한 제재는 적시적소에 이뤄져야 의도한 결과를 얻는다. 일례로 과거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유사한 보이콧과 재정적 제재를 당해 자국의 백인 소수계를 정치 협상 테이블에 복귀시킨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 베이징 올림픽의 전면 보이콧은 티베트 사태에 대항하는 정당한 방법이 아니다. 중국이 티베트를 탄압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국제사회는 이를 알면서 중국을 2008년 올림픽 개최국으로 선정하지 않았던가.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도 올림픽 보이콧을 반대했다. 더욱이 국제사회가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한다고 중국이 티베트에 대한 강경태세를 바꾼다는 보장도 없다. 중국 당국은 보이콧 압력이 불쾌할지라도 자존심을 버리고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자치권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시도해 국제사회의 질타를 가라앉혀야 한다. 마찬가지로 서방국가들도 신중해야 한다. 부분적인 보이콧은 무효할 뿐 아니라 참여를 하느니 마느니 하면서 국가 간 이견을 빚는 일도 민망한 처사다. 최악의 결과는 보이콧 논란을 벌인 국가 정상들이 오는 8월 개막식 때 하나 둘씩 슬그머니 자리를 차지하고 멋쩍게 앉아 있는 모습일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중국의 정치적 승리가 될 뿐 아니라 중국에 인권신장을 촉구하는 앞으로의 국제사회의 노력을 훼손하는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