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전자 주가 너무 저평가"

반도체 불황이지만 주요사업 여전히 세계1위


"삼성전자 주가 너무 저평가" 반도체 불황이지만 주요사업 여전히 세계1위 채수종 기자 sjchae@sed.co.kr 관련기사 • 삼성전자 "2012년 매출150兆" • 축적된 IT에 BT·NT 결합 '글로벌 톱'으로 • '2012년 매출150조' 비전 배경은 주우식(사진) 삼성전자 IR팀장(부사장)은 언론사 증권 데스크들을 만나 “삼성전자 주가가 너무 저평가됐다”며 “국내 최대 운용사로 삼성전자의 주요주주인 미래에셋의 박현주 회장을 만나기 위해 면담을 신청해놓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주 부사장은 “과거의 성장세보다는 못하지만 주요 사업부문에서 여전히 세계 1위를 하고 있는데 사이클 산업인 반도체가 불황기를 맞고 있는 것만으로 회사의 미래를 의심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주 팀장과의 일문일답. -세계 반도체 시장이 어려워진 것은 삼성전자가 후발업체를 죽이기 위해 공급을 늘린 때문이 아닌가. ▦삼성이 공급을 늘린 것은 경쟁력 유지를 위해 한 것이다. 특별히 다른 기업을 힘들게 하려는 의도는 없다. -삼성전자는 사업성과에 비해 주가가 못 따라가는데 주가 상승을 유인하기 위한 계획은 없는가. ▦반도체 사업부문의 어려움 등 모든 것을 인정해도 현재의 주가는 너무하다. 주가 부양을 위해 액면분할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아직 생각을 안하고 있다. 삼성이 예전 같은 고도성장세를 유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새로 발표한 신성장사업만 잘 정착이 되면 자동차업계의 도요타를 능가하는 ‘슈퍼스타’가 될 수 있다. -외국인투자가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파는 데는 지배구조가 복잡한 것도 한가지 이유라는 지적이다. 대책은 없나. ▦지분관계 단순화 요구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 덩치가 커서 쉽지 않다. 이보다 기업은 투명하게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삼성전자는 투명성에서 아시아 최고 기업이다. 소유구조와 투명성은 연계성이 없다. -최근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삼성전자는 적대적 M&A의 보호 대상이 아니라고 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정부에서 적대적 M&A를 막기 위해 전면에 나서는 것은 최소화해야 한다. 그래야 기업들이 긴장한다. 권 부총리가 말한 것이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투자자들은 삼성전자가 적대적 M&A에서 정부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기간산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입력시간 : 2007/10/30 17: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