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토종 벤처캐피털 육성 나서

세제 혜택·규제 완화등 검토…해외 투자 위축 가능성

중국이 ‘토종’ 벤처 캐피털 육성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가 벤처 캐피털을 육성하기 위해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등의 조치를 강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NDRC가 내년 3월에 발효시킬 예정인 ‘39호 조치’는 중국 벤처 캐피털 업체의 최소 자본금 규모를 370만달러(약 37억원)로 해외 업체보다 120만달러 낮춰 잡고 있다. 또 최소 투자액의 경우 중국 업체는 12만달러, 해외 업체는 100만달러로 뚜렷한 차별을 두었다. 또 중국 정부는 자국 업체의 벤처 캐피털 시장 진출 승인 요건을 보다 완화할 방침이다. FT는 NDRC가 사실상 지방 정부에 토종 벤처 캐피털 업체에 직접 투자 및 대출, 채권 보증 등을 더욱 늘리라고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막강한 자본력을 갖춘 해외 벤처 캐피털 업체 및 사모펀드가 중국에 몰려들어와 폭리를 취하는 현상을 막기 위한 장치로 풀이된다. 실제 해외 벤처 캐피털 업체의 중국 벤처기업 투자 수익률은 지난 2년간 원금의 10배에 달한다. 지난 8월 나스닥에 상장한 중국 최대 인터넷 업체 ‘바이두’의 주가는 상장 첫날 공모가에 비해 250%까지 폭등했으며 이에 따른 수혜는 바이두에 대거 투자한 미국계 투자자들에게 돌아가게 됐다. FT는 그러나 중국의 이번 조치로 중국 내 벤처 기업에 대한 해외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토종 벤처 캐피털 업체들이 성장하면서 경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높은 데다, 해외 업체들에 대한 정부의 차별적인 조치로 부담이 늘었기 때문이다. 홍콩에 위치한 ‘폴, 해스팅스, 야노프스키와 워커’의 모리스 후 공동 대표는 “해외 벤처 캐피털 업체들은 (중국 내에서) 막강한 경쟁자를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