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달러표시 보험 가입자 불안감 높아져

저환율 정책따른 환차손 우려에 해약문의 크게 증가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환율 하락을 유도함에 따라 미국 달러표시 보험에 가입한 고객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외환보유고를 활용, 달러매도에 나서는 등 원화가치 절상을 적극 유도함에 따라 외국계 보험사를 중심으로 판매된 달러보험에 대한 해약문의 상담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생보사들이 판매하고 있는 달러보험은 대부분 연금보험으로 일시납으로 5만달러 이상을 납입하게 되며 연율 5~6%의 이자를 보장한다. 만기 후 보험금은 달러통화로 받게 되지만 원화가치가 상승할 경우에는 환차손을 감수해야 한다. 외국계 보험사의 한 관계자는 “물가상승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정부가 당분간 저(低)환율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달러보험 해약 여부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상당수 고객들은 올해 초 정부가 수출증대 및 경제성장을 위해 고환율정책을 전개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달러보험에 가입했지만 최근 들어 정부의 외환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환차손이 늘어나지 않을까 잔뜩 우려하는 모습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달러보험의 경우 10년 이상의 장기상품으로 확정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있는 만큼 단기간의 환율변동에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