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보험업계, 은행 퇴직자 '이삭줍기'

재무설계·영업능력 뛰어난 인력 영입나서<br>명퇴 지점장엔 독립사무실등 인센티브도

보험업계가 영업 강화를 위해 은행 희망퇴직자들을 대상으로 '이삭줍기'에 나서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구조조정 차원에서 희망퇴직을 잇따라 추진하는 가운데 보험회사들은 재무설계 및 영업능력이 뛰어난 은행권 희망 퇴직자들을 앞 다퉈 영입하고 있다. 보험사 및 독립법인대리점(GA)들이 은행 퇴직자들을 스카우트하는 것은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보험상품 판매 자격증을 갖고 있는데다 특정 기업 및 지역을 대상으로 남다른 영업경쟁력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보험업계는 지난 8월 말부터 교차판매가 도입되면서 영업기반이 더욱 확대된데다 내년부터는 퇴직연금시장도 급팽창할 것으로 예상되자 영업력 강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보험판매채널인 GA의 한 관계자는 "올 들어 11월까지 은행권의 퇴직인력 180명을 채용했다"며 "구조조정으로 은행권의 퇴직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채용규모를 더욱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형 생보사에 비해 영업력이 떨어지는 중소형 생보사들도 은행 등에서 쏟아져 나오는 우수 인력을 흡수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명예퇴직한 은행 지점장에게는 독립 사무실과 개인비서를 제공하는 GA나 보험사들도 많다"며 "금융실무 경험이 많기 때문에 본사에서 3개월의 보험교육 과정을 마치면 바로 현장에 투입, 영업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들은 특히 지방은행 출신 명예퇴직자들을 선호한다. 지방은행 퇴직인력은 지방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지역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갖춰 영업확대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GA인 에이플러스에셋은 부산.광주 등에 은행 출신으로만 구성된 지점장그룹 6개를 운영하고 있을 정도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