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최우량 종합 여신전문기관 도약

POWERED BY FULCRUMPOWERED BY 삼보정보시스템 전체 기사검색한국일보 검색일간스포츠 검색서울경제 검색SEARCH KOREATIMES검색어 : 모두 총 127건 찾음검색기간 : 2000.05.06-2000.06.05 결과리스트검색영역 : 서울경제(전체) 최우량 종합 여신전문기관 도약 2000/05/07(일) 20:56 [새천년 새금융] 한미캐피탈 「21세기 종합 여신전문 금융기관으로 탈바꿈한다.」 한미캐피탈(사장 정홍진·丁弘鎭)이 채권금융기관들로부터 1,647억원 규모의 출자전환 및 전환사채(CB) 발행 등 금융지원을 받아 사적 워크아웃을 사실상 마무리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한미캐피탈은 지난 98년 말 해외 전문컨설팅사로부터 회사의 부실 정도와 문제점, 향후 운영방안 등 전반적인 경영상태에 대한 정밀진단을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사적 워크아웃을 추진, 올해를 「경영정상화 원년」으로 삼고 있다. 지난 99년 사명을 한미리스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면서 전업리스사의 이미지에서 탈피, 종합여신전문 금융기관으로 재도약한다는 의지를 표명했던 한미캐피탈은 내년 상반기까지 경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2003년까지 수익성 위주의 영업기반을 구축한 뒤 2004년 이후에는 국내 최우량 여신전문 금융기관으로 도약한다는 내용의 장기 경영계획을 이미 수립해놓은 상태. ◇시장 신뢰회복이 급선무=IMF 사태 이후 리스사들은 시장 여건의 급속한 악화로 워크아웃이나 청산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의 회오리에 휘말리면서 업계 판도가 전면 재편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개발·조흥·경인·신보·주은리스 등이 공적 또는 사적 워크아웃을 통해 재기를 모색하고 있고 대동·동남 등 몇몇사들은 아예 시장에서 퇴출당했다. 현재 산은캐피탈 및 신한캐피탈 등 일부사를 중심으로 정상영업을 펼치고는 있지만 업계 전반의 신뢰상실로 대부분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미캐피탈도 사적 워크아웃을 마무리하면서 경영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하기는 했지만 아직 리스채 발행 등을 통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길은 막혀 있는 상태. 채권단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유동성 위기를 해결했음에도 불구, 앞으로 독자경영을 통해 시장에서 얼마나 신뢰를 얻느냐가 향후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대적인 인원감축 등 그동안 구조조정 과정에서 다소 이완됐던 조직을 재정비하는 일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신규사업 진출 등 업무영역 다각화로 승부=한미캐피탈은 최근 사적 워크아웃의 마무리와 함께 신규 인력을 충원하고 벤처캐피털 및 M&A 업무를 새로운 사업영역으로 확장하는 등 새로운 수익원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같은 방침의 일환으로 우선 채권단에 의해 매각작업이 진행 중인 전은리스인수를 추진, 주채권은행으로부터 인수자로 선정된 상태이며 현재 최종 인수를 위한 막바지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기존 부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던 심사 부문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심사팀을 신설했고 유동성 리스크 및 환리스크 관리 등 종합적인 리스크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체계적인 경영관리에 나설 방침. 이밖에 틈새시장 공략 및 신상품 개발을 통해 리스영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팩토링·운전자금대출·주택할부금융·개인대출 등 소비자금융으로까지 업무영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대주주와의 업무제휴 통해 영업망 확대=한미캐피탈은 그동안 추진해온 사적 워크아웃 과정을 발판으로 앞으로 대주주인 한미은행 및 채권금융기관들과의 업무연계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한미은행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객을 적극 발굴하고 채권금융기관들과 업무제휴를 맺어 간접적인 영업망의 확대를 꾀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현재 이를 위한 준비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丁사장은 『향후 여신전문 금융업계는 신규 진입이 용이해지면서 과거 리스전업사와 할부금융사, 그리고 카드사들간 치열한 영업경쟁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과거 구태의연하고 보수적이던 경영에서 탈피해 투명하고 깨끗한 경영으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다양한 영업전략을 통해 시장 선도자로서의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진우기자RAIN@SED.CO.KR 입력시간 2000/05/07 20:56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