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펀드운용사, 투자자 보다는 회사이익 치중"

KDI 보고서 "성과 이전 확인… 공시制 정비 필요"

펀드 운용사가 투자자보다는 운용사의 수익을 높이는 데 치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성빈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4일 '우리나라 간접투자 현황 분석 및 과제' 보고서에서 "보수가 높고 낮은 펀드 사이의 교차보조 여부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저보수 펀드로부터 고보수 펀드로의 성과 이전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연구원은 "이런 경향은 지난 2006년 이후 강화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운용사의 성과 이전 배경에 대해 "투자자가 지불하는 비용의 대부분인 보수는 순자산과 비례하는 만큼 펀드 판매·운용사 입장에서는 이익 극대화를 위해 낮은 보수가 책정된 펀드보다 고보수 펀드의 성과를 높이려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보수가 높은 펀드의 성과를 위해 낮은 펀드의 자원배분을 인위적으로 줄인다면 투자자 이익을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 연구원은 이에 따라 투자자의 이익을 해칠 가능성이 있는 거래에 대한 면밀한 감독과 운용사의 운용능력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뤄지도록 GIPS 도입 등 펀드 성과공시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동일 운용사 내에서 이뤄지는 펀드매니저의 이동으로 성과 차이가 유발되고 이런 성과 변화가 투자자 이익에 반할 수 있으므로 운용 전문인력의 변경 때는 원인과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